교사 행위자성(teacher agency)에 기반한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 탐구

A Practical Exploration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by Home Economics Teachers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of Teacher Agency

Article information

Hum. Ecol. Res. 2022;60(3):359-37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August 26
doi : https://doi.org/10.6115/fer.2022.024
1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tudent
2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rofessor
이혜원1orcid_icon, 박미정,2orcid_icon
1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석사과정
2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Mi Jeong Park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50 Taeseongtabyeon-ro, Gangnae-meyon, Heungdeok-gu, Cheongju-si, Chungbuk, Korea Tel: +82-43-230-3677, Fax: +82-43-231-4087, E-mail: homeedu@naver.com
This article was presented as a poster session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on May 28, 2022.
This article is a part of Hyewon Lee’s master’s thesis submitted in 2022.
Received 2022 June 1; Accepted 2022 July 13.

Trans Abstract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of teacher ag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HE (home economics) subjects and CSE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for HE teachers, and their implementation in HE class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HE teachers nationwide for which 243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HE teachers who were actively practicing CSE.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were as follows. First, HE teachers strongly recognized the relevance of HE subjects and the topic of CSE with an average score of 4.63 (out of 5 points), and practiced CSE at an average of 72.23% (97.12%~43.21%) in their class. Second,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model of teacher agency, the factors facilitating the CSE practice of HE teachers included: childbirth and parenting experienced as parents, experiences of students encountering sexual problems in school, the philosophy and content of HE subjects, positive feedback from students and support from fellow teachers, and intention to help students in their lives. Conversely, HE teachers cited a lack of sexual education experience as learners, complaints from parents, weakness of HE teacher networks, lack of specific statement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insufficient class content and teacher training, and lack of absolute class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vealing that CSE is highly relevant to the contents of HE subjects and is already being practiced in HE classes.

서론

2020년 ‘n번방’으로 대표되는 온라인 메신저를 통해 성을 착취하는 디지털 성범죄 사건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사회에 적지 않은 충격을 주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경찰이 9개월간 디지털 성범죄 특별수사본부를 운영한 결과, 피해자만 1,154명에 이르고 그중 미성년자가 60.7%로 확인되었다(“Police ‘Digital Sex Crime Speci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2021). 또한 피의자로 3,575명을 검거하고 245명을 구속했는데, 피의자 대부분은 통신매체 접근성이 높은 10대와 20대였다. 이처럼 청소년들은 성범죄의 위험에 놓여 있는 동시에, 제3자나 친구를 대상으로 청소년이 범죄의 주체가 되어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The real owner of room n”, 2021).

이 사건을 계기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교육부는 「디지털 성범죄 근절대책」의 후속 조치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는 올바른 성 가치관과 태도 습득을 위해 포괄적·체계적 학교 성교육을 실시하고, 성인지 감수성에 기반한 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를 개발해 학교 현장에 보급하겠다고 밝혔다(MOE, 2020). 하지만 학생들이 삶을 살아가면서 마주하는 성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Kim, 2020) 기존 학교 성교육 표준안(MOE, 2015b) 외에 다른 성교육 지침은 현재까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UNESCO (2018)는 ‘포괄적 성교육’의 접근으로 국제 성교육 지침을 발표하며 효과적인 성교육을 위해 필요한 내용과 이를 연령별로 어떻게 다뤄야 하는 지에 대한 구체적인 커리큘럼을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에서도 학생들에게 보다 의미 있는 성에 대한 지식, 기술 및 가치를 기르기 위해 포괄적 성교육을 우리나라 교육에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Cho et al., 2018). 하지만 포괄적 성교육의 국내 도입에 앞서 이미 관련된 내용을 정규교과에서 다루고 있지는 않은지, 이미 다루어지고 있다면 어떻게 우리나라에서 교육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로 확대될 필요성이 함께 제기되고 있다.

가정교과는 5차 교육과정부터 ‘성교육’이라는 용어를 교과 교육과정에 사용하면서 중·고등학교에서 성과 관련한 교육을 지속하고 발달시켜왔다(Kim & Lee, 2010). 특히 가정교과는 다른 교과와는 달리 부모-자녀를 포함한 다양한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 발달에 대한 폭넓은 지식에 기초해 전 생애에 걸친 성과 관련된 교육을 한다(Kwark, 2001)는 측면에서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이에 현행 학교 교육과정에서 성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가정교과 내용과 포괄적 성교육이 어느 정도 관련이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포괄적 성교육이 어떻게 반영 및 실천되고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가 실제 수업에서 실천하지 않으면 교육과정에 아무리 좋은 내용이 있다고 하더라도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성교육은 이루어질 수 없다. 개인적인 역량, 맥락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실천을 의미하는 ‘교사 행위자성’의 개념은 가정과교사들의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성교육 실천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교사 행위자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상황적 맥락을 파악하고 어떤 요인들이 가정과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도움이 되거나 방해가 되는지 탐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에서 변화의 주체인 ‘가정과교사’를 중심으로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가정과교사들이 가정교과 내용과 국제 성교육 지침인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관련성을 어떻게 인식하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양적 연구인 설문 조사를 활용해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후 질적 연구인 면담을 통해 적극적으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어떤 요인 및 맥락이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도움 및 저해가 되는지 파악해, 가정교과 내 성교육이 교사 개인의 역량에 의존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인식하고자 한다. 이는 더 많은 가정과교사들이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가정교과에서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은 물론 국가적인 차원에서 포괄적 성교육의 실천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성교육이 필요한 현 상황에서 이를 반영하는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 내용의 관련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며 실천하고 있는가?

나. 교사 행위자성의 생태학적 접근 관점에서 가정과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론적 배경

1.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

교육인적자원부는 성교육 관련 교과로 가정교과를 명시했다(MOE, 2001). 가정교과는 1987년에 발표된 5차 교육과정부터 ‘성교육’이라는 용어를 교과 교육과정에 사용하면서 중·고등학교에서 성과 관련한 교육을 지속하고 발달시켜왔다(Kim & Lee, 2010). 타교과와는 다르게 가정교과에서의 성교육은 단순히 생물학적 측면의 성만을 가르치지 않는다(Go, 2002). 가정교과는 부모-자녀를 포함한 다양한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 발달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을 기초해 성과 관련된 교육을 한다(Kwark, 2001). 또한 가정교과는 지식, 능력, 가치 판단력의 함양을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 해결을 통해 자립적인 삶을 영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MOE, 2015a). 즉,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성과 관련한 문제를 실천적 문제 해결의 관점에서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그것을 해결하는 데 있어 가족, 친구, 사회에 미치게 되는 영향을 고려하게 한다(Jang & Kim, 2009). 이는 최근의 패러다임으로 제안되는 포괄적 성교육의 흐름과 부합한다. 또한 Joo 등(2022)의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교육 내용은 포괄적 성교육에 해당하는 유네스코 성교육 가이드라인(UNESCO, 2018)의 내용체계에 해당하는 거의 모든 내용을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포괄적 성교육(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은 1991년 출판된 The Guidelines for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Kindergarten-12th Grade에서 첫 국가적 지침으로 제시된 후 미국의 성정보윤리위원회(SIECUS), 국제가족계획연맹(IPPF), 유네스코(UNESCO) 등 다양한 단체들에서 보완 및 발전되어 왔다. UNESCO (2018)는 포괄적 성교육을 성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사회적 측면을 배우는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이라고 정의했다. 포괄적 성교육은 금욕주의로 불리는 임신의 예방, 피임 등에 대한 일부의 정보만을 제공하고 절제를 강조하는 과거의 성교육과는 다르다(Kemigisha et al., 2019). 포괄적 성교육은 청소년의 성을 통제하고 생물학적 성 지식만을 강조하기보다 오히려 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한 성’을 탐구하고 가르치며(Malone & Rodriguez, 2011)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책임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식, 기술 및 가치를 길러주는 데 주안점을 둔다(IPPF, 2012).

UNESCO (2018)는 포괄적 성교육의 핵심 개념으로 관계, 가치·권리·문화·섹슈얼리티, 젠더 이해, 폭력과 안전, 건강과 복지를 위한 기술, 인간의 신체와 발달, 섹슈얼리티와 성적 행동, 성 및 재생산 건강의 8가지를 제시했다. 8가지 핵심 개념은 동일하게 중요하고 상호보완적이며 나선형 교육과정에 의해 이전에 학습한 내용이 심화되고 반복된다. 핵심 개념은 2~5가지 주제로 구성되며 5~8세, 9~12세, 12~15세, 15~18세 이상의 연령 집단에 따른 핵심 내용과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된 국외 연구로 Goldfarb와 Lieberman(2020)은 지난 30년 동안 학교 기반 프로그램으로 진행된 포괄적 성교육 연구를 분석하였다. 포괄적 성교육의 전 영역을 아우르는 80개의 연구를 찾아 분석한 결과 포괄적 성교육을 통해 성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 데이트 및 친밀한 파트너에 의한 폭력 예방, 건강한 관계 개발, 아동 성학대 예방, 사회·정서적 학습 향상, 미디어 리터러시의 증가 등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이 결과는 다양한 주제와 학년에서 다뤄지는 포괄적 성교육이 인간의 섹슈얼리티에 긍정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장기적으로 성교육이 포괄적 성교육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정당성을 부여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포괄적 성교육의 개념이 도입되는 단계로 선행연구(Joo et al., 2022; Kang & Kim, 2020; Kim, 2022; Seo & Yang, 2021)를 살펴보면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포괄적 성교육 개념을 분석 기준으로 하여 나다움어린이책의 젠더 감수성,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해당 내용이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선행연구는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이 다른 성교육 프로그램에 비해 성 의사소통, 문제 해결 의사소통, 연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나다움어린이책을 활용하는 것의 적합성을 밝혔다. 특히 가정교과의 경우 학생들에게 주된 교재로 사용되는 교과서에 포괄적 성교육의 전 영역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으며, 연령 수준에 맞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포괄적 성교육의 적용에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러나 포괄적 성교육이 이미 현행 교육과정에서 실제 어떻게 반영되어 실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을 실천하는 가정과 교사들은 가정교과 내용과 포괄적 성교육이 어느 정도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하는지, 실제 수업에서 포괄적 성교육을 어떻게 반영 및 실천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교사 행위자성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국내에서도 교사가 교육 변화의 능동적인 주체로 인식되기 시작함에 따라 최근 교사의 행위자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교사 행위자성(teacher agency)은 행위자성(agency)과 교사의 교육 실천을 연결해 이론화한 모형이다(Priestly et al., 2015). 교사 행위자성은 교사의 역량과 다양한 맥락의 상호작용을 고려한다. 즉, 교사 행위자성은 어떤 교사는 가지고 있고 어떤 교사는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역량, 학생·학부모·동료 교사·관리자·자원·사회 등의 맥락, 관계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현되는 교사의 실천(Seo & Choi, 2018)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실천이 개인적 역량뿐만 아니라 여러 맥락 속에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발현된다는 교사 행위자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가정과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Priestley 등(2015)은 생태학적 접근 모델을 기반으로 교사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맥락을 제시해 교사 행위자성에 대한 이론적 틀을 Figure 1과 같이 제시했다. 교사 행위자성의 생태학적 접근 모델은 교사 행위자성을 개인이 가진 것이 아니라 통시적 관점에서의 과거-현재-미래 세 가지 차원과 개인의 역량, 현재의 맥락이 상호작용하며 발현된 결과로 본다. 이러한 교사 행위자성의 관점은 어떤 맥락의 요소가 교사 행위자성을 성취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방해하는지 분석해, 교사 행위자성의 다면적이고 복잡한 양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Figure 1.

Ecological approach model of teacher agency. (Priestley et al., 2015: 30)

현재의 맥락은 문화적, 구조적, 물리적 차원으로 구분되며 맥락의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교사 행위자성이 지원되기도 하고 제약받기도 한다. 이때 주목할 점은 교사 행위자성은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발현되는 개념으로 시간적 차원에서 단순하게 현재의 한 시점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뿌리를 두고 미래를 지향하며 현재의 우발성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교사가 성교육을 실시할 때 ‘지금 이 순간’의 문화적, 구조적, 물리적 차원의 맥락만이 성교육 실천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과거 교사의 개인적인 경험이나 성교육 연수 이수 여부, 교사가 미래에 장·단기적으로 성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목표 또한 현재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교육 실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즉, 교사 행위자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통시적 관점에서 교사 개인의 역량, 맥락의 상호작용을 파악해야 한다. 통시적 관점을 반영한 교사 행위자성의 생태학적 접근 모델에서는 과거를 ‘반복적 차원’, 현재를 ‘실천적평가적 차원’, 미래를 ‘투영적 차원’으로 표현한다. 과거-현재-미래 세 가지 차원은 모든 상황마다 동일하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세 가지 차원이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기도, 하나의 시간적 차원이 더 크게 영향을 끼치기도 하며 교사의 상황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끼친다. 이렇게 통시적 관점 속에서 교사 행위자성을 이해하는 것은 교사를 둘러싼 맥락을 보다 입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Yu & Kim, 2020).

교사 행위자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 중 실제 교사가 수업을 실천하게 하는 맥락을 교사 행위자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선행연구 Keum et al., 2021; Lee, 2018; Lee & Kim, 2021; Lim et al., 2021)에서는 교사가 세계시민교육, 원격수업, 사회적 실천지향(SSI) 수업을 실천하게 하거나 방해하는 다양한 맥락 및 요인을 주로 파악하였다. 하지만 해당 연구들은 반복적, 실천-평가적, 투영적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요소들이 교사 행위자성을 지원하거나 제약하는지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기보다는 일부 차원에 한정 지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교과나 학교급에 대해 소수의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를 일반화하기 어려운 한계를 지닌다. 또한 성교육을 주제로 교사 행위자성의 개념을 적용한 연구는 없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가정과교사들이 포괄적 성교육에 대해 교사 행위자성을 발현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하고, 적극적으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가정과교사들을 중심으로 면담을 실시해 교사 행위자성이 발현되는 다양한 맥락과 요인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교사 행위자성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방법을 바탕으로 가정과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분석하기 위해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절차를 1) 교사 행위자성에 근거한 분석틀 개발, 2)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 주제의 관련성 인식 및 실천에 대한 설문조사, 3)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한 면담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2. 교사 행위자성에 근거한 포괄적 성교육 실천 분석틀 도출

교사 행위자성과 관련된 국내 선행 연구 및 문헌을 고찰한 후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과 관련한 분석틀을 Figure 2와 같이 도출하였다.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한 분석틀은 Priestley 등(2015)이 제시한 교사 행위자성 생태학적 접근 모델 틀과 같은 방식으로 통시적 관점에서 교사 행위자성의 맥락을 반복적, 실천적-평가적, 투영적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각 차원의 하위 요소인 생애사, 직업적 경험, 문화적·구조적·물리적 맥락, 장·단기적 지향 역시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다만 하위 요소의 내용은 가정과교사가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는 맥락을 고려하여 수정하였다. 연구자가 작성한 분석틀은 지도교수, 포괄적 성교육에 관심이 있고 가정과 교육 전공으로 대학원에 재학 중인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검토를 받았다.

Figure 2.

Practice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by HE teachers based on the teacher agency.

3.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 관련성 인식 및 실천에 대한 설문조사

가. 설문조사 측정

교사 행위자성 생태학적 접근 모델을 토대로 가정과교사가 인식하는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 주제에 대한 관련성 및 수업에서의 실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설문 문항을 총 66문항 도출했다. 설문 문항은 분석틀의 토대가 된 교사 행위자성과 관련한 국내 논문 중 설문조사를 활용한 논문들의 설문 내용을 기초로 수정 및 보완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일반적 배경,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의 관련성 인식, 가정과 수업에서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위한 지원 사항, 가정교과에서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위한 방향으로 구성하여 질문 내용에 따라 선택형과 5점 Likert 척도, 우선순위형, 서술형 문항으로 개발하였다.

설문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문항은 가정교육 전공 교수 1인과 포괄적 성교육에 관심이 있으면서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가정과교사 3인의 피드백을 통해 문항 구성 및 문장을 수정·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설문지 하위 요소의 내적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 값이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의 관련성 인식은 0.966, 가정과 수업에서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은 0.914로 신뢰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나.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는 전국의 중고등학교 가정과교사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길 원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을 실시하였다. 설문 참여 대상 모집을 위하여 전국의 가정과 교사들이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오픈 카카오톡 등을 통해 링크를 공유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KSDC DB(www.ksdcdb.kr/main.do)를 활용하여 2022년 4월 6일부터 4월 17일까지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가정과교사는 총 259명으로 설문지 259부를 회수했다. 중복된 IP를 가진 16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243부를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들에 대한 일반적인 배경은 Table 1과 같다.

General Background of Study Participants (N=243)

다. 자료 분석

설문 결과는 KSDC 통계분석 3.0 및 Excel을 활용하여 연구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순위형 다중반응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정과교사가 인식하는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의 관련도에 대해서는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천 정도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통해 실천 비율을 구해 포괄적 성교육의 주제별로 가정교과와의 관련도 및 실천 정도의 순위를 나타냈다. 가정과 수업에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지원되어야 할 사항은 우선 순위형 설문으로 순위형 다중반응 빈도분석을 통해 1순위, 2순위, 3순위에 따른 빈도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후 가정교과에서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 방향, 접근 가능한 수업 방법, 필요한 지원 사항 등에 대한 서술형 답안에 대해서는 비슷한 주제별로 묶어 분석하였다.

4.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한 면담

가. 면담 문항 구성

교사 행위자성에 근거한 포괄적 성교육 실천 분석틀을 바탕으로 가정과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이 발현되는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면담 문항을 구성했다. 면담 문항 역시 분석틀의 토대가 된 교사 행위자성과 관련한 국내 논문 중 면담을 활용한 논문들의 면담 내용을 기초로 수정 및 보완하였다. 면담 질문지는 일반적 배경과 함께 교사 행위자성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포괄적 성교육 실천, 반복적 차원, 실천적-평가적 차원, 투영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가정과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이 발현되는 맥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구성하였다.

나. 연구 참여자 및 자료수집방법

연구 참여자는 2022년 4월 설문 조사에서 면담에 참여 의사를 표시한 42명의 교사 중에서 경력, 포괄적 성교육 및 가정과 교육과정 전문성, 학교급 등을 고려하여 후보를 선정하였다. 이후 개별 연락을 통해 면담 참여에 대한 동의를 얻었으며, 개별 이메일로 연구 동의서를 전달해 서면으로 동의를 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면담에 참여하게 된 교사는 Table 2와 같다. 연구 참여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실명 혹은 신분을 추측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는 의도적으로 표에 포함하지 않았다.

General Background of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면담은 2022년 4월 25일부터 5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일정은 연구 참여자들과 협의하여 결정하였다. 인터뷰 일정이 정해진 후에는 개별 이메일로 면담에 대한 질문지를 미리 전달하여 연구 참여자가 질문 내용을 미리 숙지하고 인터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면담은 코로나-19로 인한 대면 만남의 부담감과 참여하는 교사들의 여건을 고려하여 온라인 화상 플랫폼(Zoom)을 활용해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다. 면담은 개별 교사 당 평균 1시간 12분, 총 6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반구조화된 면담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미리 준비한 기본 질문을 중심으로 진행하되 필요한 경우 추가 질문을 제시하면서 면담을 진행했다.

특히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로 개인식별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생명윤리위원회(IRB)에 필수적으로 심의 받을 필요는 없으나, 연구의 윤리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는 생명윤리와 관련한 교육을 연구 시작 전 이수하였으며, 연구자의 소속 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받은 후 연구윤리 가이드를 준수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 자료 분석

본 연구의 면담 자료는 Creswell & Poth (2018)의 나선형 자료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1단계 ‘자료를 관리하고 조직화하기’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해 연구 참여자 별로 녹음한 음성파일을 텍스트로 변환시켜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터뷰 내용을 1차 전사하였다. 연구자가 전체 내용을 다시 들으며 잘못 변환되었거나 누락된 부분을 수정하여 최종 전사본을 완성하였다. 참여자의 개인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내용을 제외하고 최대한 참여자의 응답을 변형하지 않고 서술하였다.

2단계 ‘읽기와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메모하기’에서는 전사된 텍스트를 반복해서 읽으며 면담의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였다. 이때 면담 실시 당시 연구자가 작성한 메모를 전사된 텍스트와 함께 읽으며 교사 행위자성과 관련하여 머릿속에 떠오르는 핵심 개념, 아이디어, 문구 등에 대해 메모를 하였다.

3단계 ‘기술하고, 코드를 주제로 분류하기’에서는 전사된 텍스트와 메모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교사 행위자성과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그었다. 밑줄이 그어진 내용을 바탕으로, 해당 내용에 포함된 교사 행위자성의 요소와 의미를 생각하며 ‘성교육 관점 변화’, ‘가정교과와의 연계’ 등과 같이 코드를 부여하였다. 이후 비슷한 코드끼리 묶고 유의미하지 않거나, 중복되는 코드는 줄여가면서 ‘가정과교사가 인식하는 포괄적 성교육’,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의 관련성’ 등과 같은 주제로 분류하였다.

4단계 ‘해석을 발전시키고 평가하기’에서는 여러 개의 코드로 구성된 주제를 교사 행위자성의 세 가지 차원인 반복적, 실천적평가적, 투영적 차원과 연결해서 해석하였다. 주제들 간 어떻게 상호 연결이 되어 통시적 관점에서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실천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해석하였다. 이때 해석을 하면서 면담 내용 중 빠진 부분이나 잘못 분류된 경우가 없는지 반복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들 간의 면담 결과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질문에 대해 더 심도 있는 답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료 수집의 과정에서 의미가 모호한 부분에 대해 연구자가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즉시 참여자에게 묻고 확인하였다. 또한 전사 자료와 인터뷰를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를 인터뷰 참가자에게 확인받아 연구자의 주관적 관점이 개입되어 왜곡된 부분이 없는지, 분석과정에서 빠졌거나 연구자가 임의로 추가한 사항 등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1.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 주제별 관련도 및 수업 실천 정도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의 주제별 관련성과 수업 실천 정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egree of Relevance and Class Practice of CSE (N=243)

전국의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 주제의 관련성을 모든 주제에서 5점 만점에 4점 이상, 모든 주제의 평균값이 4.63으로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실천의 경우 실천한 경우, 실천하지 않은 경우 두 가지로 나누어서 측정한 결과 가정과 수업에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한 교사 비율의 주제별 평균값이 72.23% (43.21%~97.12%)로 가정과교사들이 수업에서 포괄적 성교육의 주제와 내용을 많이 실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포괄적 성교육의 총 8개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 주제의 관련성 및 수업 실천을 ‘인간의 신체와 발달’>‘관계’>‘폭력과 안전’≧‘가치, 권리, 문화, 성’>‘건강과 복지를 위한 기술’>‘성과 재생산 건강’>‘섹슈얼리티와 성적 행동’>‘젠더 이해’의 순서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가정과교사가 인식하는 포괄적 성교육의 주제 중에서 높은 관련도를 보인 주제는 ‘사춘기’, ‘결혼과 육아’, ‘임신’, ‘신체이미지’, ‘성, 생식기, 생리’였다. 수업 실천 또한 거의 비슷한 주제인 ‘성, 생식기, 생리’, ‘임신’, ‘사춘기’, ‘신체 이미지’, ‘임신, 임신예방’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가장 낮은 관련도 및 수업 실천은 성매개감염병이나 젠더와 관련된 주제로 나타났다. 관련도의 경우 ‘젠더기반폭력’, ‘젠더평등,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으로 구성된 젠더와 젠더규범’, ‘성매개감염병을 포함한 성병 위험감소에 대한 이해와 인식’,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낙인, 돌봄, 치료와 지원’ 순으로 관련도가 낮게 나타났다. 수업 실천은 ‘젠더기반폭력’,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낙인, 돌봄, 치료와 지원’, ‘성매개감염병을 포함한 성병위험 감소에 대한 이해와 인식’, ‘성(sex), 섹슈얼리티(sexuality), 생애 주기별 성생활’, ‘젠더평등, 고정관념과 편견’ 순으로 낮게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고찰하면, 가정과교사는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 주제가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며, 실제 수업에서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중에서도 포괄적 성교육 중 높은 관련도 및 수업 실천을 보이는 주제들은 Table 4와 같이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반대로 다른 주제들에 비해 낮은 관련도 및 실천 정도를 보이는 주제들은 ‘젠더’, ‘성매개감염병’, ‘섹슈얼리티’라는 단어가 언급된 주제들이었다. 이 주제와 관련된 내용은 가정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으나, 해당 단어가 명확하게 드러나 있지 않거나 주제에 대한 내용의 일부만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예를 들어 가장 낮은 관련도를 보이는 주제인 ‘젠더기반폭력’의 경우, ‘젠더기반폭력이 무엇이며 어디에서 도움을 얻을 수 있는지 아는 것은 중요하다.’라는 내용은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9기가02-09] 가정폭력의 사회·구조적인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고, 가정폭력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 상황을 중심으로 대처 및 지원 방안을 탐색한다(MOE, 2015a).’에서 다룰 수 있지만 교사 행위자성에 따라 수업에서의 실천은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해석된다.

Comparison of Middle- and High-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s and CSE Topics

나. 가정과 수업에서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위한 지원 사항

설문에 참여한 가정과교사들이 앞으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어떤 부분의 지원이 필요한지 순위별로 응답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Support for the Practice of CSE (N=243)

1순위에 300%, 2순위에 200% 3순위에는 100%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결과 설문 조사에 참여한 가정과교사 188.9%가 국가 수준 가정과 교육과정에 포괄적 성교육 내용 강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관련된 기타 서술형 의견으로는 ‘교과서 내용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포괄적 성교육의 주도적 교과로 가정교과를 지정해야 한다는 응답이 150.6%로 그 뒤를 이었다. 그 외에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된 수업 콘텐츠 제작 70.8%,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필요성 홍보 68.7%,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 59.3%, 포괄적 성교육을 위한 별도 예산 지원 29.2%,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해 함께 의논할 교과 연구회나 전문적학습공동체 활성화 28.4%로 나타났다. 또한 기타 의견으로 ‘포괄적 성교육 실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개선’에 대한 의견도 있어 가정과교사가 수업을 실천하는 것에 있어 주위 환경이나 사람들의 인식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2. 교사 행위자성에 따른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

가. 반복적 차원

1) 생애사

과거 삶의 경험은 포괄적 성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D교사는 가족, 학교와 같은 일상생활에서 성고정관념을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포괄적 성교육의 필요성을 느꼈다.

  • 저희 세대는 어릴 때부터 차별적인 말들을 성과 관련해서 많이 들어왔죠. 더군다나 이제 결혼을 하면서 며느리라는 입장이 되잖아요. (중략) 양쪽 집안에서 며느리나 사위의 역할이 다르다는 고정관념 그런 것들이 항상 부당하다고 느껴왔던 것 같아요. 학교도 마찬가지로 예전에만 해도 굉장히 여교사에 대한 편견이나 관리자들의 차별적인 그런 발언 공공연하게 많이 했었거든요. 그런 것들이 되게 항상 마음속에 억울하다 이렇게 남아있었던 것 같아요. (D교사)

E교사의 경우, 자신의 아이를 키우면서 포괄적 성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더욱 느끼게 되었다. 교사로서뿐만 아니라 부모로서 역시 성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자녀에게 교육해야 할지 고민이 되었기 때문이다.

  • 결혼도 하고, 자녀를 키우면서 필요성을 느꼈어요. 자녀를 낳는 과정이라든지. 어떤 책임감이라든지. 여러 가지 상황에 있어서.. 정규 교육에서 제대로 학습했다면 (중략) 저 같은 경우에는 과거 교육과정 세대이기 때문에 남자는 기술공학 배우고 여자는 가정 가사를 배웠던 세대라 중·고등학교에서 제대로 된 성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어요. (E교사)

특히 E교사는 성별에 따른 교육과정 편제에 의해 가정과 과목을 배울 수 없었고, 이로 인해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성교육을 배울 기회가 없었다. 하지만 다른 가정과교사들 역시 교육과정상에서 성교육을 배웠더라도 학습자로서 의미 있는 성교육을 받지 못했다.

성교육을 제가 받은 적이 있을까요? 아니요. 진짜 독학한 것 같아요. 1정 연수 때 잠깐 교양처럼 들었던 것 같고요… (C교사)

  • 최근 A교사는 출신 대학교의 요청을 받고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성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지도하며, 상담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학습자로는 의미 있는 성교육을 받은 경험이 부족했지만,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예비 교사에게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성교육을 실시한 것이다. A교사는 이 과정을 통해 교원 양성 과정에서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느꼈다.

최근에 했던 예비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한 강의는 사실 규모도 크고, 게다가 온라인이라서 이게 좀 오해의 소지가 있으면 어떡하나 고민도 했는데 정말 단 하나의 피드백도 그런 피드백은 없었어요. (중략) 오늘 시간에 이렇게 배우고 나니까 정말 이제 앞으로 어떻게 해야 될지 조금은 자신감이 생기고 학교 현장에 가게 되면 이렇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피드백이 많았어요. (A교사)

2) 직업적 경험

연구 참여자들은 실제 교사가 되고 나서 마주하게 된 직업적 경험을 통해 포괄적 성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더욱 느꼈다. 특히 자신이 받은 교육이나 알고 있는 지식 이상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성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한다는 것을 경험하면서 충격을 받았다.

  • 2015년도에 저희 반 아이였거든요. 그때 고1이었는데 가방에서 임신테스트기가 발견이 됐다고. 그러면서 부모님이 하셨던 말이 일찍 뭐 예를 들면, 여섯 시까지 들어오게 한다든가 시간적인 통금을 하고 있는데 어떻게 더 할 수 있냐는 식으로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그때 실제로 애들은 더하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앞서가고 있는데… 더 잘 교육을 해야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던 거 같아요. (B교사)

연구참여자들은 직업적 경험을 통해 성과 관련한 기본적 지식을 전달하고 개념을 교육하는 것에 대한 한계를 경험했다. 일부 학생들은 이미 성과 관련한 문제를 겪고 있으며,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연구참여자의 경험은 학생들의 삶을 반영하며 도움이 되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개인적인 교육적 지향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는 반복적 차원이 미래와 관련된 투영적 차원에 영향을 끼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라고도 할 수 있다.

자신이 받은 교육적 경험과 실제 현실의 괴리를 경험한 가정과교사들은 스스로에 대해 부족함을 느꼈다. 성교육과 관련된 교사 연수를 듣고 싶어 찾았지만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한 성교육 연수 자체가 없었다. 궁여지책으로 다른 교과를 대상으로 한 성교육 연수, 여성 단체에서 실시한 연수를 이수한 교사들도 있었지만 아쉬움을 느꼈다. 즉, 가정교과와 관련된 의미 있는 교사 연수의 부족은 가정과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 (교사 연수를 들으며) 지식적인 측면에서 많이 알게 된 것은 내가 수업할 때 이렇게 이런 걸 얘기해주면 좋겠다. 이런 건 있었지만 내가 학생 입장이라고 생각하고 수업을 들었을 때 정말 이렇게 내 삶에서 이런 부분이 달라져야 되겠다는 건 아니었던 것 같아요. (D교사)

나. 실천적-평가적 차원

1) 문화적 환경

문화적 환경은 말하고 사고하는 방식으로 생각, 가치, 신념과 관련되며 교사 사명감, 교육관 등이 포함된다.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과 관련한 맥락으로 문화적 환경인 현재 학교 성교육의 만족도, 학교 성교육에서 가정교과의 중요성, 포괄적 성교육과 가정교과와의 관련성 등과 관련해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학교에서 성과 관련한 문제가 지속해서 일어나고 있는 반면, 실제 학생들이 성과 관련해서 겪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성교육에 대한 지침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고 느꼈다. 학교에서 공통적으로 창의적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해 실시되고 있는 성교육은 생물학적 지식 위주로 금욕을 강조하며, 사건이 발생하면 사건에 대한 사후 대처 방안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 그냥 외부 강사님을 모셔서 학생들이 일 년에 몇 시간 듣고 교사도 몇 시간 듣고 교육청 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성폭력 예방 교육을 합니다. 성범죄를 저지르면 안 된다는 수준 정도의 교육을 반복시키고 있는 거죠. (E교사)

생물학적 지식, 사후 대처 방안 위주로 이루어지는 성교육에 대해 부족함을 느낀 연구 참여자들은 새로운 성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했다. 이는 가정과교사들이 포괄적 성교육이라는 새로운 성교육 패러다임에 대해 인식하고 가정교과에서 실천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그동안 우리가 성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었지만 이걸로는 해결이 안 되니까. 왜냐면, 성 지식으로 안다고 되는 게 아니거든요. 사실 이런 흐름이 국내만의 문제는 아니고 외국에서부터 온 것이고. 국내에 도입이 된 거죠. (중략) (학생들의) 삶을 전반에다 펼쳐 놓고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성에 대한 문제를 다뤄야 한다… (A교사)

가정교과에서 이루어지는 성교육을 포괄적 성교육의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가운데, 가정교과의 내용과 포괄적 성교육의 관련성에 대해서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이 매우 관련이 있으며 포괄적 성교육이라는 개념을 인식하기 전부터 이미 가정과교사들이 수업에서 실천하고 있었다.

  • 가정교과는 인간이 태어나기 전부터 죽을 때까지 생애 전체를 다루는 학문이기 때문에 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단순히 어떤 특정한 영역을 다루는 게 아니기 때문에... 가정교과는 성 자체만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가족 관계나 양육이나 여러 가지 실질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중략) 다른 교과와 달리 가장 기본적으로 성교육을 해야 되는 교과라고 보고 있죠. (E교사)

특히 A교사는 단순히 가정교과의 내용과 포괄적 성교육이 관련이 있어서 가정과교사들이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 가정교과 자체의 철학과 부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가정교과의 철학과 결국은 연결이 된다고 생각해요. 가정과교육의 사명은 결국 해방적 관점에서 비판적인 사고를 하는 게 우리의 도달점이기 때문에 다른 교과랑은 차이가 있을 것 같아요. (중략) 이거 할 교과가 없어요. 저희 교과가 유일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교과에서도 포괄적 성교육을 정말 열정적으로 하는 분들을 많이 만났지만 그분들은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한 수업을 했을 때 굉장히 공격받아요. 왜 이 교과 시간에 이런 걸 하냐? 그런데 저희 교과 같은 경우에는, 왜 가정 수업에 그런 수업을 하느냐를 저는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어요. 왜냐하면, 당연히 우리가 해야 하는 교육이고 하라고 만들어진 교과이고 저희(가정교과) 성취 기준에 우리가 이 수업을 하는 근거가 너무나 명확하게 다 드러나 있어요. (A교사)

2) 구조적 환경

  • 구조적 환경은 관계, 역할, 권력, 신뢰와 같은 사회적 구조와 관련이 있다.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과 관련해서는 크게 학교 구조, 교육공동체 구조, 시도교육청 및 교육부 구조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이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파악했다. 학교 구조에서 가정과교사들이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는 것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은 실제 수업 속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학생들이었다.

    오히려 아이들인 것 같아요. 아이들이 필요하다고 이렇게 알려주셔서 고맙다고 뭐 덕분에 많이 알게 되었다고 그렇게 얘기를 해주는 것 자체가 고맙고 좋은 거죠. (중략) 항상 수업을 끝내고 나면 역시 제일 필요한 걸 알려주신다는 피드백을 늘 해요. (B교사)

B교사는 학생들이 포괄적 성교육 내용을 학습하면서 스스로 해당 내용이 자신의 삶과 연결되며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진지한 태도로 수업에 임한다고 했다. 학생들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때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느끼며,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해당 내용을 집중적으로 가르치고 있었다.

반면, 학생들과 관련해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기 어려운 요소도 있었는데 학생들의 수준 차이였다. 이는 중·고등학교로 나뉘는 학교급에 대한 차이보다는 개별 학생의 수업 태도나 기초적인 지식수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서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C교사는 생물학적 지식조차 없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할 때 생식기관의 명칭부터 수업을 한 경험이 있었다. 반면 D교사는 이미 성과 관련해서 발생하고 있는 사회적 차원의 문제를 이해하고 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보다 수준 높은 수업을 실천하고 있었다.

  • 성교육이 어려운 이유가 너무 모르는 아이와 너무 지식이 많은 아이, 수준이 너무 차이가 많이 나다 보니까 (중략) 고등학교에서 임신과 관련한 내용을 수업하려면 난소라든가 배란 이런 용어들을 기본적으로 알아야 수업을 하잖아요. (중략) 용어와 관련된 내용이 중학교 1학년에 자유학년제에만 내용이 있다 보니까, 애들이 생각보다 몰라요. (C교사)

  • 애들이(중학생들이) 어려운 얘기를 해도 고등학생 정도 수준의 수업이 되는 것 같아요. 애들이 알아듣거나 이미 알고 있는 애들도 있어요. 신기하더라고요. (D교사)

가정과교사가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는 것에 있어 학교 구조에서 중요한 또 다른 요인은 학부모와 관련된 요인이었다. 직접적으로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수업과 관련해 학부모의 민원을 받은 연구 참여자는 없었지만 혹여나 민원이 들어오지는 않을까 걱정이 앞서, 교사 스스로 수업 내용을 배제하고 축소시켜 가르치게 되었다. 또한 이는 학부모의 민원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관리자의 인식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어 가정과교사의 행위자성을 더욱 위축시켰다.

  • 특히 고등학교는 민원이 많거든요. 딱 이거 시험 나올 부분에 대해서만 수업을 하지 이상의 것을 굳이 할 필요가 있느냐 이거예요. (중략) 관리자도 사실 (포괄적 성교육이) 필요하다는 걸 교사로서 알고는 있지만 (민원을) 커버하기가 힘드실 거예요. 그래서 뭐 솔직히 저희들은 민원 안 나오는 선에서 걱정을 먼저 하고 차단을 하고 수업을 하는 거죠. (B교사)

특히 A교사는 학부모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민원에 대처하기 위해 개인적인 차원에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성과 관련된 부분이 학생이나 학부모에게 민감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에 교사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교사가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수업을 실천하는 것에 제약을 느끼는 만큼 사회적 차원에서의 지원 및 보호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

  • 사실 민원이 들어오는 것은 저는 포인트가 학생과의 관계라고 생각해요. 아무리 좋은 교육이어도 교육의 방식이나 관점을 다르게 했을 때는 학생들이 굉장히 불편해해요. 교육의 맥락을 잘 고려해야 되고 학생들이 불편할 수 있는 지점을 언제나 얘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중략) 제 나름대로는 이제 그래도 혹시라도 민원이 들어올 수도 있다는 그런 긴장감 때문에 늘 성취기준을 옆에 두고 (수업을 해요.) 교육과정 때문에 우리가 (수업을) 했다. (중략) 교원단체 이런 데 가입해보고 저도 나름대로 저를 좀 보호할 수 있는 보호책을 찾았지만 제가 속할 수 있는 안전한 집단은 아직은 찾지 못했어요. (A교사)

반면 D교사는 학부모들 역시 포괄적 성교육에 대해 무조건 반대하는 입장은 아니라는 의견을 이야기했다. 최근 학부모들 사이에서 역시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학부모들은 성과 관련된 지식이 부족하며 스스로 자녀에게 교육하기에는 민감하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어 일부 학부모들은 사설 교육기관에 성교육을 문의해서 자신의 아이에게 가르치고 있었다. D교사는 검증되지 않은 사설 교육기관이 아닌 학교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이 성에 대한 건전한 태도와 책임감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하는 필요성을 인식했다.

  • 사설 교육기관 아세요? 팀을 짜면 강사가 시간당 얼마 이렇게 받고 팀 수업을 해주는 그런 수업도 있더라고요. (중략) 부모도 이런 성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기 때문이죠. 부모도 사실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되게 무지할 것 같아요. 어렸을 때 들은 교육 가지고는 할 수가 없는데 자기가 공부를 해서 아이를 가르치기에는 역부족인 부분이 있고 그러다 보니까 (중략) 사실 그게 제대로 된 성교육인지 모르잖아요. 성교육을 하는 데 있어서는 콘텐츠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다루느냐 하는 게 되게 중요한 거잖아요. 성과 관련된 건 더군다나 가르칠 때 그 사람의 가치관이 녹아 있을 수밖에 없거든요.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것을 비싼 돈을 들여가면서 수업을 하게 할 것이 아니라 이제 교과에서 빨리 다뤄야 된다고 생각해요. (D교사)

한편 동료 교사들은 연구참여자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해 ‘나도 듣고 싶다, 이런 수업 우리가 들어야 하는데’, ‘아이들은 이런 거 배워서 좋겠다. 재밌겠다.’와 같이 말하며 가정과교사를 성교육의 전문가로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지지해주고 있었다. C교사의 경우 가정 교과에서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한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오히려 알리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 주변 선생님들한테 우리 애들한테 피임 교육 이렇게 한다고 이야기하고 신생아 모형 사가지고 일부러 끌고 다니거든요. 저는 조금 일부러라도 우리가 뭘 가르치는지 좀 얘기를 하려고 해요. 네, 소문내는 거죠, 한마디로. (C교사)

가정과교사들 사이에서 교사 연구회, 동아리 등과 같은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된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와 교류 정도에 대해, 성에 대한 내용은 가정교과의 다른 영역들과 비교해서 다른 교사들에게 공유하기에 ‘확신이 서지 않는다’라는 의견이 많았다. 수업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교사 연구회에서 활동하며 공개적으로 수업을 공유하기 보다는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는 선후배 및 동료 교사와 함께 수업 연구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 제가 지금 하고 있는 게 맞는지도 사실 저도 아직도 확신이 서지 않기 때문에.. 교사 연구회를 만들 역량까지는 없다고 느끼지만 만약에 필요성이 있어서 누군가 모인다고 하면, 거기에 참여할 의향은 있어요. (A교사)

B교사는 소속 시도교육청과 협업하면서 더욱더 교사가 혼자서 열심히 수업해서 변화하는 것의 한계를 느꼈다.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차원에서의 지원이 있어야 개별 학교에 예산 및 지침이 내려오고, 자연스럽게 교육 현장에서 적용이 된다는 것이다. A교사는 특히 이때 어떤 사람이 운영하는지 담당 장학사의 의지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해당 장학사를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되는 것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 (사업을 운영하는 것에) 굉장히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어요. 담당 연구사가 몇 번이 바뀌었어요. 왜 바뀌었냐면 자기는 내 이름 걸고 이런 교육자료 내보낼 수 없다 이러는 거예요. (A교사)

  • 2~3년 정도는 부모교육을 강조하고 이걸 활성화하려고 계획을 세웠었어요. 우리 지역의 모든 학교에서 부모 교육을 잘 할 수 있게끔 계획을 세웠었어요. (중략) 관리자가 바뀌면서 (교육청에서) 업무가 삭제가 되는 거예요. 부모 교육을 맡고 있었던 파트가 사라지면서 예산이 줄어들고 지원도 없고 코로나 생기면서 정말 흐지부지하게 된 거예요. (B교사)

3) 물리적 환경

물리적 환경은 교사의 행위자성을 방해하거나 도움을 주는 자원, 국가수준 교육과정, 물리적 환경 등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실천적-평가적 차원에서의 다른 환경에 비해 물리적 환경에서 많은 제약을 느꼈다. 특히 공통적으로 가정교과에서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된 구체적인 교과서 내용, 수업 콘텐츠나 이를 전달하는 교사 연수에 대한 필요성에 깊이 공감했다. D교사는 가정교과에서 포괄적 성교육 내용을 실천하고 있지만 교육과정 상에서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것들도 많아 교과서 집필에 어려움을 겪었다.

  • 교과서를 집필할 때는 가장 중요한 게 교육과정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잖아요. (중략) 교육과정에 아주 하나하나 정말 근거를 따져가면서 거기에 충실하려고 해요. 왜냐하면, 채택이 돼야 하니까. 성폭력, 가정폭력 성취기준 하나씩이잖아요. 성폭력 저변에 깔린 기본적인 문제, 성적 자기결정, 평등의 차원이라든지. 인권이라든지. 뭐 이런 거 관련된 것들이 많이 있잖아요. 그런 것들을 전체적으로 아울러야 되는데 성폭력만 딱 따로 떨어뜨려서 하니… (D교사)

B교사의 경우 교육과정에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지만 성취기준과 연관된 내용이 있으면 학습지를 따로 만들어 가르친다고 했다. 이성 교제에 대해 수업을 한다면 이와 관련지어 성적 자기결정권, 데이트 폭력 등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많은 가정과교사가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고 싶더라도 포괄적 성교육의 내용 자체가 광범위하며 관점을 이해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참고할 수 있는 콘텐츠나 교사 연수의 필요성을 느꼈다.

  • 저희 콘텐츠가 어디 있어요? 선생님들 다 본인들이 고군분투해서 만들어 가지고 수업하는 건데 (중략) 그런 게 없는 채로 늘 맨땅에 헤딩하면서 수업 준비하고 했었어요. 근데 그런 노력을 줄여줄 수 있으면 얼마나 더 좋은 수업을 할 수 있을까? (B교사)

  • 포괄적 성교육은 네, 아예 없어요. 관점 자체가 너무 어렵기 때문에 단순히 몇 차시 교육을 받는다고 되는 게 아니라, 자기가 계속 연구해야 되고 공부해야 되고 하다 보니까… 그거를 수업에 적용해서 수업안을 만드는 것까지는 사실 너무나 어렵기 때문에 콘텐츠가 너무 부족해요. (A교사)

B교사는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 자체가 부족하며 당연히 성과 관련된 연수는 더욱 없다고 답했다. 또한 대부분 성과 관련된 연수는 신체적인 성, 교사들이 법정 의무로 들어야 하는 성희롱·성폭력·가정폭력 예방교육에 집중되어 있었다.

  • (성과 관련한) 연수도 포괄적인 성과 관련한 개념보다는 성범죄가 일어나는 걸 예방하는 것에 집중하는 교육들이 많죠. 법정 의무로 매년 비슷한 내용을 듣는 수준이 많습니다. (E교사)

연구 참여자들은 법정 의무로 이수해야 하는 연수만 듣고는 학교 현장에서의 마주하는 성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성에 대한 지식, 기술 및 가치를 가르칠 수 없다는 것을 느꼈다. 또한 E교사는 교사들 사이에서도 포괄적 성교육으로 나아가는 방향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수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 포괄적 성교육을 우리가 제대로 가르치고, 아이들이 실천을 하게 하려면 일단 교사 자체가 여기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동의 및 공감을 하고 전체 내용을 다 이해를 해야 되는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집중적인 연수가 필요할 것 같아요. (E교사)

연구 참여자들은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제약하는 또 다른 원인으로 수업 시수를 꼽았다. 가정과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많은 콘텐츠가 개발된다 하더라도, 포괄적 성교육의 폭넓고 깊이 있는 주제를 지속적·반복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절대적인 수업 시간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포괄적 성교육을 다루기 위해서는 형식적으로 하는 일 년에 뭐 한두 번 하는 그런 성교육으로는 절대로 이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어요. 적어도 일주일에 두세 시간 이상은 해야 돼요. 그것도 굉장히 자세하게 해도 사실 될까 말까인 교육이기 때문에… (A교사)

특히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은 아무리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고 하더라도 시수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수업을 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한 상태에서 가정과교사들은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 저희 시수 진짜, 매년 고등학교 수업을 해 보지만 진짜 아동 발달까지만 하면 끝나요. 뭐, 할 수가 없습니다. 너무 시수가 적죠! 근데 안에서 어떡하든 다른 거 빼고 그거(포괄적 성교육) 넣고 하는 거예요. (C교사)

다. 투영적 차원

가정교과에서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과 관련된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적인 지향은 ‘학생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 성교육’이었다. 학생들이 살아가면서 겪을 수밖에 없는 가족, 여러 사람들과의 관계, 젠더규범, 성에 대한 의사결정, 사춘기의 신체발달 등과 관련한 문제를 마주했을 때 가정교과를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마음이 가정과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이끈 것이다.

  • 넓은 의미로 접근하는 성교육은 사실 가정과 이외에는 없죠. 없으니까 우리 과에서 해야 할 수 밖에 없죠. 피임이나 데이트 폭력, 얘네들이 어디서 가족의 중요성이라든가 인생의 삶의 가치에 대해서 배울까… 저도 그런 생각으로 수업을 좀 하고요. (C교사)

사회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학생들이 겪는 성문제들도 다양해지고 변화하고 있다. 삶에서 겪는 다양한 성에 대한 문제들에 대해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중 하나의 방법으로 가정과교사들은 수업에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가정과교사들은 실천 학문으로서 개인과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가정교과의 철학(Chae et al., 2015)을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학부모들의 민원, 시수 부족, 참고할 만한 교육 자료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가정과교사들이 자발적으로 노력을 하고 있는 반면, C교사는 사회, 학교에서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지만 포괄적 성교육이 아직까지도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교육이라고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느꼈다.

  • 우리 사회에 아동폭력이나 학대 이런 게 너무 많으니까 가족성을 회복할 어떤 교육을 교과안에서 녹여서 해야 하거든요. 그런데 분명히 교육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말 가족 안에서 해결하길 바라고 좀 교육이 외면받는 느낌… 너무 교육 안으로 못 들어온 느낌이에요 (C교사)

학생들에게 성에 대해 의미 있는 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포괄적 성교육이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D교사는 이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가정과 교육과정에 명시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구체적으로 제시된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필요한 교육으로 인정받는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교과서 개발, 수업 콘텐츠 제작, 교사 연수 등으로 나아가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그러니까 이제 최우선 순위가 교육과정으로 들어오는 거죠. 들어왔을 때 우리가 이제 주장할 수 있는 거죠. 이거 해야 된다! (중략) 왜냐하면, 교육과정이 들어오면 일단 교사는 준비를 하니까. (D교사)

아직 사회적으로 포괄적 성교육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부족해 교사의 개인적인 역량만으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학생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 성교육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연구참여자들은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답했다. 또한 가정과교사들은 가르치는 학생들이 성장하면서 자신들이 경험한 교육을 바탕으로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커질 것을 기대하며 수업을 실천하고 있었다.

  • 현장에서 학생들과 성교육 주제 중의 하나라도 수업을 하시는 게 저는 가장 큰 확산 같아요. 학생들을 통해서 확산되는 거죠. 어떤 특정한 교사가 보통 수업 하나를 했을 때 학생 수에 따른 파급력이 있고 이게 연차가 쌓이잖아요. 그런 가치관을 가진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고 그게 어떤 사회적 합의가 되기까지 그런 의미의 확산으로… 학생들이 사회에 나갔을 때 우리 사회에 (학교)현장에 포괄적 성교육을 해야 된다는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이 아닐까요? 학생들이 사회인이 되는데 많은 시간 안 걸리거든요. (A교사)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교사 행위자성의 생태학적 접근 모델에 기초하여 가정과교사들이 가정교과 내용과 국제 성교육 지침인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관련성을 어떻게 인식하며, 실제 수업에서는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전국의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수집한 자료 243개를 분석하였으며, 적극적으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가정과교사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가 인식하는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 주제의 관련도는 5점 리커트 척도에 평균값은 4.63점이었다. 모든 주제에서 4점 이상으로 전국의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 주제의 관련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실천의 경우, 주제별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한 교사의 비율의 평균값이 72.23%로 가정과교사들이 수업에서 포괄적 성교육 주제를 많이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포괄적 성교육 주제 중 가정교과와 관련성이 높다고 인식되고, 가정과 수업에서 많이 실천하고 있는 주제는 ‘사춘기’, ‘결혼과 육아’, ‘임신’, ‘신체이미지’, ‘성, 생식기, 생리’, ‘임신, 임신예방’이었으며, 반대로 낮은 관련도 및 실천 정도를 보인 주제는 ‘젠더기반폭력’, ‘젠더평등,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으로 구성된 젠더와 젠더규범’, ‘성매개감염병을 포함한 성병 위험감소에 대한 이해와 인식’,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낙인, 돌봄, 치료와 지원’, ‘성, 섹슈얼리티, 생애 주기 별 성생활’이었다. 이는 주제와 관련된 내용이 가정과 교육과정에 명확하게 드러나 있는지에 따라 관련도 및 실천 정도가 달라졌다고 해석된다.

한편 가정교과에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지원이 필요한 부분으로 1순위에 300%, 2순위에 200%, 3순위에 100%의 가중치를 부여해 계산한 결과, 설문 조사에 참여한 가정과교사의 188.9%가 국가 수준 가정과 교육과정에 포괄적 성교육 내용 강화를 요구하였고, 포괄적 성교육의 주도적 교과로 가정교과를 지정해야 한다는 응답도 150.6%로 그 뒤를 이었다. 그 외에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된 수업 콘텐츠 제작(70.8%),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68.7%),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필요성 홍보(59.3%), 포괄적 성교육을 위한 별도 예산 지원(29.2%),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해 함께 의논할 교과 연구회나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28.4%)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기타 의견으로 ‘교과서 내용 강화’와 ‘포괄적 성교육 실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개선’에 대한 지원 요구도 있었다.

둘째, 교사 행위자성의 생태학적 접근 모델의 반복적 차원에서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성 고정관념, 부모로서 경험한 출산 및 양육은 가정과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성인지 감수성을 키우고, 성평등을 강조하는 포괄적 성교육의 실천으로 나아가게 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학생들이 성과 관련된 문제를 겪는 것을 경험하면서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했고, 지식적인 차원의 교육이 아닌 학생들의 삶에 진정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을 실천하고자 했다. 하지만 과거 학습자로서의 포괄적 성교육 경험 부족, 지식 전달 및 대처 위주의 교사 연수는 가정과교사들이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는 데 제약이 되었다.

실천적-평가적 차원에서 가정과교사들은 자신이 속한 문화적, 구조적, 물리적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도록 나아가기도 하는 동시에 제약도 받았다. 학교 문화에서 학생들에게 성과 관련한 문제가 지속해서 일어나고 있는 반면, 성과 관련해서 겪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성교육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은 가정교과에서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이끌었다. 가정과교사들은 포괄적 성교육의 실천에 있어 개념의 명확한 이해 이전에도 이미 가정교과 내용과 포괄적 성교육이 매우 관련이 있으며 이미 수업에서 실천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또한 실천 학문의 성격을 지니고 해방적 관점에서 실천적 문제해결을 목표로 하는 가정교과의 철학은 포괄적 성교육의 목표와 부합해 가정과교사의 실천에 힘을 실어줬다. 학교 구조적 환경에서 학생들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동료 교사들의 지지는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는 데 가정과교사들에게 도움을 주었지만, 학부모의 민원과 민원에 민감한 관리자의 인식은 가정과교사들이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방해하고 위축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정과교사들 사이의 네트워크가 부족한 것과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차원의 공감대 및 지원 부족 역시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저해하였다. 물리적 환경에서 가정과교사들은 특히나 많은 제약을 느꼈다.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은 관련성이 높은 반면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있고, 관련된 수업 콘텐츠와 교사 연수도 부족해 가정과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저해했다. 또한 포괄적 성교육의 폭넓고 깊이 있는 주제를 지속적·반복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수업 시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가정교과의 수업 시수 또한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었다. 특히 고등학교의 경우 기본적인 시수가 부족한 상황이어서 수업 실천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투영적 차원에서 가정과교사는 자신이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거나 지향점과 반대되는 행동에 저항하면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했다. ‘학생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 성교육’이라는 가정과교사들의 목표이자 지향은 가정과교사들이 포괄적 성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게 했다. 또한 가정과교사들은 포괄적 성교육이 가정교과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가정교과에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고, 가정교과에서 포괄적 성교육이 실천되어야 한다는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되기를 원했다. 이러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은 해당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사회에 나갔을 때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가정과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만나는 학생들에게 포괄적 성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에서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구체적이며 학생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 성교육에 대한 학생, 학부모 등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현재 학교에서의 성교육은 학교 성교육 표준안 이후 명확한 지침이 없이 표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현시점에도 학생들은 성과 관련된 문제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대처하기 위해 성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는 구체적인 지식, 생활 기술의 습득이 필요하다. 유네스코(UNESCO)가 2018년 발표한 국제 성교육 가이드인 포괄적 성교육은 성과 관련한 폭넓고 깊이 있는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활 기술을 개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성교육이 실시될 수 있는 방안으로 포괄적 성교육을 학교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는 사회적 공감대의 형성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 학교 현장의 가정과 교사들은 가정교과와 포괄적 성교육의 관련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며, 실제 수업에서 많은 주제를 실천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가정교과에서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교과에서 포괄적 성교육 실시하고 있다는 사회적 인식은 부족한 상황이다. 포괄적 성교육을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추가적으로 반영하는 것에 있어 현실적으로 새로운 교과를 만들거나, 시간을 확보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성에 대한 포괄적인 내용을 이미 가르치고 있었으며 관련성이 높은 가정교과를 중심으로 포괄적 성교육의 적극적인 학교 교육과정 도입 및 실천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가정과 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한 맥락적 지원이 필요하다. 과거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만을 계획대로 가르치는 교사와는 달리, 현재 가정과 교사들은 가정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성과 관련해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교육을 위해 주체적인 관점으로 수업을 재구성해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교사 행위자성은 개인의 역량뿐만 아니라 교사를 둘러싼 맥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실현된다. 하지만 현재 가정과 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은 교사 개인의 역량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지원체계가 미비하다. 가정과 교사의 개인적 역량에 의존하는 현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은 매해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전에 배운 내용을 심화하고 반복적으로 가르칠 수 없어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성교육으로 나아가기 어렵게 한다.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성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가정교과에서의 지속적인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 및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가정과 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은 현재인 실천적평가적 차원과 함께 반복적 차원에서 개인의 과거 경험에 근거해, 투영적 차원에서 개인이 바라는 장·단기적 지향에 영향을 받으며 이루어지고 있다. 반복적, 투영적 차원은 개인적 역량과 관련이 높은 차원으로 더 많은 가정과 교사들이 포괄적 성교육을 실천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실천적-평가적 차원을 중심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실천적-평가적 차원에서 문화적 환경의 경우 지식 전달, 사후 대처 방안 위주로 교육할 수 밖에 없는 현재 학교 성교육 지침이 가정과 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저해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포괄적 성교육으로 학교 성교육의 방향이 나아갈 수 있도록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한 지침을 세워, 학교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만들 필요가 있다. 이때 가정 교과와 포괄적 성교육의 관련성 및 가정과 교육의 철학을 바탕으로 가정교과 차원에서도 포괄적 성교육을 가정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 및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구조적 차원의 경우 학부모들의 민원을 개선하기 위해 학부모 차원에서 포괄적 성교육이 무엇인지, 왜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와 함께 실제 교사가 민원을 받는 상황에서 교사의 수업권을 보장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해당 민원과 관련되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 사안별로 대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 및 매뉴얼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성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수준 차이가 큰 상황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포괄적 성교육 내용을 가정교과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기준이 없는 상황은 가정과 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저해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준에 따른 포괄적 성교육 내용의 기준 설정 및 적용 범위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 가정과 교사들 사이의 네트워크가 미약한 것은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방해하는 또 다른 요인이다. 각 학교에서 가정과 교사들의 수는 다른 교과에 비해 적으며 특히, 고등학교의 경우는 학교에 가정과 교사가 1명인 경우가 많아 수업을 공유할 수 있는 대상이 없는 상황이다. 포괄적 성교육 수업과 관련하여 협력과 공유를 할 수 있는 교사 연구회 조직 및 지원을 통해 가정과 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을 촉진시켜야 한다.

물리적 차원의 경우 포괄적 성교육 내용이 가정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으나,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지 않아 개별 가정과 교사들의 역량에 따라 교육되거나, 각기 다른 해석으로 수업이 실시되며 포괄적 성교육의 실천이 저해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교육과정에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한 내용이 명확하게 드러난 경우 가정과 교사들의 수업 실천 정도가 높았기에, 가정과 교육과정에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설명하여 가정과 교사들의 실천을 지원해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수업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된 수업 콘텐츠나 교사 연수를 제작하여 가정교과에서의 포괄적 성교육의 적용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족한 수업 시수는 폭넓은 주제와 깊이 있는 성교육 실천을 어렵게 하는 상황이다. 가정과 교사들이 포괄적 성교육을 심화시키며 반복해서 교육할 수 있는 수업 시수를 확보해 학생들이 의미 있는 성교육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차원에서의 맥락적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 행위자성의 요인들 중에서 측정 가능한 요인들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질적 연구는 연구 참여자 다섯 명의 심층 면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연구 결과 및 해석이 다소 편향될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혼합 연구로서 교사 행위자성 이론에 기초하여 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포괄적 성교육이 이미 가정과 수업에서 실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포괄적 성교육은 국제적인 성교육 지침으로 우리나라의 교육에 바로 적용하기 이전에 국가 및 지역에 따른 문화가 반영되어야 하며 연령별·수준별로 어떤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 가정교과에서 연령 및 수준별로 포괄적 성교육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설정하고, 연구한 기준을 바탕으로 많은 가정과교사들이 실질적으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가정교과의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Notes

The author declares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References

1. Chae J. H., Park M. J., Kim S. G., Han J.. 2015. Instruction to Home economics education Paju: Gyomoonsa.
2. Cho Y. J., Kim D. S., Namgung Y. Y., Lee H. K.. 2018. A study on Demand Survey on Sexuality Education for Youth Korean Woman's Development Instisute.
3. Creswell J. W., Poth C. N.. 201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4th ed) Los Angeles, LA: Sage.
4. Go J. K.. 2002. The contents analysis of sexuality education in the textbooks of junior high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5. Goldfarb E. S., Lieberman L. D.. 2020;Three decades of research: The case for comprehensive sex education.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60(1):13–27.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20.07.036.
6. International Planned Parenthood Federation. 2012. Exploring new territories: Dialogues from a consultative meeting on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London: Autho.
7. Jang H. G., Kim G. J.. 2009. Sex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n : Proceedings of the 2009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p. 101–136.
8. Joo H. J., Lim S. J., Choi S. E., Lee G. S.. 2022;Content analysis on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cover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UNESCO’s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for sexuality education.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10):403–420.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10.403.
9. Kang H. J., Kim J. H.. 2020;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Based on Nonviolent Communication Model.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6(1):80–90. https://doi.org/10.14370/jewnr.2020.26.1.80.
10. Kemigisha E., Bruce K., Ivanova O., Leye E., Coene G., Ruzaaza G. N., Michielsen K.. 2019;Evaluation of a school based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among very young adolescents in rural Uganda. BMC public health 19(1):1–11. https://doi.org/10.1186/s12889-019-7805-y.
11. Keum S. Y., Cho Y. H., Huh S. Y., Kim M. S.. 2021;Types and influence factors of teacher agency in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7(2):161–190. https://doi.org/10.17232/kset.37.2.161.
12. Kim D. Y.. 2020;A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student sexuality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6(1):1–15. https://doi.org/10.36031/kjhe.6.1.
13. Kim G. Y., Lee K. H.. 2010. Teaching-learning strategies of the unit ‘Adolescent Sexuality and Friendship’. In : Proceedings of the 2010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p. 59–83.
14. Kim H. R.. 2022;Effectiveness of a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male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9(4):211–235. https://doi.org/10.21509/kjys.2022.04.29.4.211.
15. Kwark K. S.. 2001. The need for sex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n : Proceedings of the 2001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p. 73–76.
16. Lee H. K., Kim H. B.. 2021;Exploring science teacher agency at the Age of the New Normal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case of second year of distance learn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1(5):415–428.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5.415.
17. Lee Y. O.. 2018.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eacher agency : A case study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lead teacher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8. Lim S. E., Kim J. U., Kim C. J.. 2021;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challenges with the perspective of structure and agency when implementing social action-oriented ssi education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1(2):115–131.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2.115.
19. Malone P., Rodriguez M.. 2011;Comprehensive sex education vs. abstinence-only-until-marriage programs. Human Rights 38:5.
20. Ministry of Education. 2015a. A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inform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Sejong: Author.
21. Ministry of Education. 2015b. School Sex Education Standards Sejong: Author.
22. Ministry of Education. (2020, April 29). Held the 4th Social Relations Ministerial Meeting and the 2nd Human Investment Talent Cultivation Council. Retrieved from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87876&call_from=naver_news .
23.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2001. Sexuality story told together : Middle school Seoul: Author.
24. Park J. A., Choi E. R.. 2021;The Effect of adolescents’ frequency of contact with SNS and service messengers and cyber violence-moderating effect of friendship(attachment). Korean Criminal Psychology Review 17(1):95–112. https://doi.org/10.25277/kcpr.2021.17.1.95.
25. Police ‘Digital sex crime speci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end of operation…3,500 arrests in 9 months. (2020, December 30). Asia Economy. Retrieved October 10, 2021, from https://view.asiae.co.kr/article/2020123011304294485.
26. Priestley M., Biesta G. J. J., Philippou S., Robinson S.. 2015. The teacher and the curriculum: Exploring teacher agency (Vol. 27) London: SAGE Publications Ltd.
27. Seo J. E., Yang S. E.. 2021;Analysis of the concepts underpinning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in nadaum children's book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8):593–607. https://doi.org/10.5392/JKCA.2021.21.08.593.
28. The real owner of room n was a youth…Children up to the age of 12 can participate (2020, May 26). Asia Economy. Retrieved October 13, 2021, from https://www.asiae.co.kr/article/2020052610584888306.
29. UNESCO. 2018.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Paris: Author.
30. Yu S. Y.. 2021;n room. Journal of feminist theories and practices 44:143–155.
31. Yu Y. M., Kim M. S.. 2020;Teacher agency achievement in the educational capacity enhancement project in gener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8):905–935.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18.90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Ecological approach model of teacher agency. (Priestley et al., 2015: 30)

Figure 2.

Practice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by HE teachers based on the teacher agency.

Table 1.

General Background of Study Participants (N=243)

항목 구분 빈도(명) 비율(%)
성별 여자 224 92.18
남자 19 7.81
연령 만22-29세 61 25.10
만30-39세 83 34.15
만40-49세 74 30.45
만50-59세 19 7.81
만60세 이상 6 2.46
교직 경력 5년 미만 73 30.04
5년 이상 10년 미만 64 26.33
10년 이상 15년 미만 45 18.51
15년 이상 20년 미만 33 13.58
20년 이상 30년 미만 13 5.34
30년 이상 15 6.17
최종 학력 대학교 졸업 166 68.31
석사과정 및 졸업 68 27.98
박사과정 및 졸업 9 3.70
학교 유형 국·공립학교 214 88.06
사립학교 29 11.93
학교급 중학교 202 83.12
고등학교 41 16.46
학교 소재지 읍·면지역 39 16.04
중·소도시 65 26.74
대도시(특별·광역·특례시) 139 57.20
Total 243 100.0

Table 2.

General Background of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대상자 성별 나이 경력 최종학력 학교급 학교 소재지 본 연구와의 관련성
A 30대 6년 학사 읍·면지역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포괄적 성교육 교사 대상 연수 실행
B 40대 17년 석사 대도시 가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참여
C 40대 20년 박사과정 중·소도시 가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참여
D 50대 31년 박사 중·소도시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된 박사 논문 작성, 교과서 개발 참여, 2015 가정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개발
E 40대 18년 박사 대도시 가정과교사 단체 운영, 교과서 개발 참여

Table 3.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egree of Relevance and Class Practice of CSE (N=243)

핵심개념 주제 관련도
수업 실천
순위 평균(표준편차) 순위 빈도(명) 비율(%)
관계 가족 18 4.58 (0.68) 4.73 (0.52) 7 211 86.83 81.89
친구, 사랑, 연인관계 6 4.74 (0.54) 11 195 80.25
관용, 포용, 존중 20 4.57 (0.67) 17 178 73.25
결혼과 육아 2 4.80 (0.43) 6 212 87.24
가치, 권리, 문화, 성 가치와 성 13 4.67 (0.61) 4.68 (0.62) 9 199 81.89 76.68
인권과 성 9 4.69 (0.62) 16 187 76.95
문화, 사회와 성 10 4.68 (0.62) 19 173 71.19
젠더 이해 사회적으로 구성된 젠더와 젠더규범 25 4.44 (0.79) 4.37 (0.87) 22 148 60.91 51.03
젠더평등, 고정관념과 편견 26 4.41 (0.84) 23 144 59.26
젠더기반폭력 27 4.26 (0.99) 27 80 32.92
폭력과 안전 폭력 11 4.68 (0.65) 4.68 (0.65) 12 192 79.01 81.21
동의, 사적영역, 몸에 대한 권리 8 4.70 (0.63) 8 204 83.95
정보통신기술의 안전한 사용 12 4.67 (0.66) 10 196 80.66
건강과 복지를 위한 기술 성적 행동에 대한 규범과 또래영향력 21 4.55 (0.69) 4.61 (0.67) 18 174 71.60 75.31
의사결정 16 4.62 (0.68) 12 192 79.01
대화, 거절, 협상기술 14 4.63 (0.67) 14 191 78.60
미디어 정보 해독력과 성 14 4.63 (0.64) 20 170 69.96
도움과 지원 찾기 17 4.61 (0.68) 15 188 77.37
인간의 신체와 발달 성, 생식기, 생리 5 4.75 (0.57) 4.79 (0.51) 1 236 97.12 93.73
임신 2 4.80 (0.48) 2 231 95.06
사춘기 1 4.81 (0.51) 3 228 93.83
신체 이미지 4 4.79 (0.49) 4 216 88.89
섹슈얼리티와 성적 행동 성(sex), 섹슈얼리티(sexuality), 생애 주기별 성생활 22 4.54 (0.76) 4.56 (0.74) 24 130 53.50 58.44
성적 행동 및 반응 19 4.58 (0.71) 21 154 63.37
성과 재생산 건강 임신, 임신예방 7 4.73 (0.56) 4.57 (0.70) 5 214 88.07 59.54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낙인, 돌봄, 치료와 지원 23 4.51 (0.75) 26 105 43.21
성매개감염병을 포함한 성병 위험 감소에 대한 이해와 인식 24 4.48 (0.80) 25 115 47.33

Table 4.

Comparison of Middle- and High-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s and CSE Topics

포괄적 성교육 주제 높은 관련도 순위 높은 실천 순위
사춘기 1 3
임신 2 2
결혼과 육아 2 5
신체 이미지 4 4
성, 생식기, 생리 5 1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9기가01-03] 청소년의 성적 발달 특징을 이해하고, 자신과 타인의 성을 소중히 여기는 건강한 성 가치관을 형성한다.
[9기가01-01]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기 위하여 청소년기의 발달 특징과 자신의 발달 특징을 연결 지어 이해한다.
[12기가01-01] 건강한 가족 형성의 기반이 되는 사랑과 결혼의 의미를 이해하고 행복한 결혼에 대한 가치를 탐색한다.
[12기가01-04] 임신 중 생활과 출산의 과정을 이해하고, 계획적인 임신과 건강한 출산을 위한 방안을 탐색한다.
[12기가01-05] 신생아기, 영・유아기, 아동기의 발달 특징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자녀 돌보기의 방법을 익혀 부모가 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추론한다.

Table 5.

Support for the Practice of CSE (N=243)

항목 가중치 부여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국가수준 가정과 교육과정에 포괄적 성교육 내용 강화 459 188.9 102 42 66 27.2 21 8.6
포괄적 성교육의 주도적 교과로 가정교과 지정 366 150.6 81 33.3 50 20.6 23 9.5
포괄적 성교육과 관련된 수업 콘텐츠 제작 172 70.8 20 8.2 31 12.8 50 20.6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필요성 홍보 167 68.7 12 4.9 44 18.1 43 17.7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 144 59.3 17 7 27 11.1 39 16
포괄적 성교육을 위한 별도 예산 지원 71 29.2 4 1.6 15 6.2 29 11.9
포괄적 성교육 실천에 대해 함께 의논할 교과 연구회나 전문적학습공동체 활성화 69 28.4 5 2.1 10 4.1 34 14
기타 (교과서 내용 강화, 학부모의 인식 개선) 10 4.1 2 0.8 4 1.6
Total - - 243 100.0 243 100.0 243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