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J. Korean Home Econ. Assoc > Volume 51(1); 2013 > Article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훈육방식과 유아의 적응간의 구조모형 분석

Abstract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which belongs t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ducare teachers on the behavior young children’s adjustments through the edu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styles of disciplin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866 children aged 2-5 years attending 23 edu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region of Gyeonggi and Gyeongsangbuk-do, and their 135 teachers in char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first,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had indirect effects on the young children’s adjustments by the media of self-efficacy. Second, the educare teachers’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s on the young children’s adjustments by the media of discipline styles. Third, the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the young children’s adjustments through self-efficacy and discipline styles. In conclusion,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the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on the young children’s adjustments the mediated effects of self-efficacy and discipline styles were confirmed. This research enables one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in which the educare teac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come evidence data for realizing the need for developing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regarding the character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of the educare teachers.

Ⅰ. 서 론

유아는 발달과 인격 형성의 과정에서 환경과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적응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적응은 쉽지 않아서 유아가 자신의 욕구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거나 환경에 융통성 있게 대처하지 못하여 욕구불만이나 갈등상태에 빠지게 되면 문제행동을 표출할 수 있다. 유아의 적응은 적응기술, 내재화 문제행동,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적응기술은 긍정적인 적응으로,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은 부정적인 적응으로 여겨진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적응기술에는 적응성, 사회성기술, 의사소통기술 등이 포함되며, 내재화 문제행동에는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고 신체적, 심리적 고통을 당하는 불안, 우울, 위축, 신체화, 비정형성등이 포함되며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자신의 고통을 나타내기 위해 환경에 부딪히는 공격성, 과잉행동, 주의력 문제 등이 포함된다[1]. 유아의 문제행동의 심각성은 문제행동의 종류가 다양하고 질적으로 그 정도가 심각해지며 문제행동의 초기 발현이 점점 늘어나고 저연령화 되어간다는 것이다[78]. 예를 들어 국내 3-5세 일반 유아 84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약 6~13% 정도의 유아가 위험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이고 있고, 그 중에서 3~4% 정도의 유아에 대해서는 전문적인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57]. 또한 서울지역 만 3-6세 유아 24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교사가 보고한 바에 의하면 3.8%~26.8%의 유아가 심각한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이고 있다[81].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볼 때 유아 문제행동은 더욱 신중하게 다루어야 할뿐만 아니라 조기개입 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보육 현장에서 보육교사들은 유아들과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그들이 보이는 문제행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통제하고 대처하는 등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해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지만[60], 입학 초기 유아의 부적응 및 영아의 문제 행동 등의 생활지도에 대한 어려움이 많다[44]. 보육교사는 훈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지만 어디까지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행동 지도기준을 세우기가 어려우며, 공격적인 행동이나 반항적인 행동에 대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89].
어린이집에서 나타나는 걸음마기 영아의 구체적인 문제행동으로는 공격적 행동, 반항적 행동, 미성숙 행동, 정서불안 행동, 신체 및 건강 관련 행동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89]. 그리고 2-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유아 문제행동 경향과 특성 연구에서는 남아의 경우 공격성, 과잉행동, 주의집중 등의 외현화 문제행동이 많았으며, 여아인 경우에는 불안, 우울, 위축 등의 내재화 문제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57].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원인으로는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들 중 일부는 어머니와 헤어져서 보육교사와 함께 오랜 시간을 보내면서 심리적인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해 문제행동을 보인다는 것이다[42]. 실제로 2010년을 기준으로 볼 때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전체 1,279,910명의 영유아 가운데 영아가 686,036명으로써 어린이집 취원율의 53.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1]. 이러한 영아취원율의 증가를 통해 어린이들이 어린이집에 다니는 기간이 점점 길어짐을 알 수 있듯이 보육교사가 취업모를 대신하여 양육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50, 61] 현대사회에서 보육교사가 유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13, 39]. 유아기 적응과 관련한 문제행동이 주로 대인관계의 부조화나 이상에서 발생하게 된다는 연구[38]에 의해서도 교사와 유아의 관계는 유아의 발달과 적응에 있어 핵심적 요인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에 교사와 유아의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심리적 특성은 지대한 작용을 하는 요소로 지목되며[77], 그중에서 특히 교사 자신의 성인 애착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4, 6, 41].
교사의 심리적 특성인 성인애착은 생애초기에 형성된 내적작동모델이 성인기까지 내재화된 것으로, 내적작동모델은 한 개인이 주어진 상황에 반응할 수 있는 내적인 심리적인 틀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개인의 성격적인 특성과 행동양식으로 드러나게 되며[66, 83], 이후 성인이 되었을 때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68].
한 인간이 부모가 되어 자신의 자녀와 관계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어린 시절 자신의 부모가 보여준 태도나 행동에 의해 형성된 성인애착이 양육자로서 자녀를 대할 때 내적작동모델을 통하여 그대로 반영되어[6] 부모-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9, 16. 23, 40]. 더 나아가 유아의 정신 건강과 사회 정서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됨을 강조하는 연구도 있다[22].
관련된 선행연구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Holland[32]는 자신의 부모와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했을 경우 현재 자기 자녀에게 긍정적인 양육방식을 구사한다고 밝혔고 부모의 애착과 자녀의 문제행동의 상관을 보는 연구들[21, 37]에서는 부모의 애착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및 내재화 문제행동과 상관관계를 보여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을 예언하는 변인이 됨을 보고하였다[22]. 예를 들어 안정적 애착을 보인 어머니의 자녀들은 불안과 우울의 수준이 낮았으며, 불안정 애착을 보인 어머니의 자녀들은 공격적이고, 적대적인 성향이 높다는 것이다[24]. 또한 어머니의 애착이 불안정하면 자녀의 내재화 문제가 증가한다고 한다[86].
이상과 같이 대부분의 성인애착연구는 부모와 자녀에 관한 연구이다. 그러나 보육교사도 유아를 돌보는 어머니와 같은 선생님[62]으로서, 부모와 교사는 유기적인 관계이며 동일하게 양육자의 역할을 담당하고[61]있기 때문에 영유아 보육에 작용하는 교사의 성인애착도 자녀 양육에 작용하는 부모의 성인애착과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부모의 성인애착이 자녀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위의 연구결과들은 교사의 성인애착 역시 유아에게 영향이 크다는 Jeong[41]과 Lynch 외[64]의 연구를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Jeong[41]은 애착유형과 인간관계를 살펴본 연구에서 거부형과 두려움형의 교사는 동료, 부모, 유아와의 관계가 좋지 않다고 보고하였으며, Lynch 외[64]는 학대받는 유아들과 교사의 관계를 살펴보아 불안정한 애착의 교사가 유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보육교사 자신의 성인애착이 유아와의 관계형성에 작용하여 교사의 행동으로 표출되며, 이를 통해 유아의 정신 건강 및 사회 정서적 발달 등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추론해볼 때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두 연구로는 충분치가 않다. 즉 많은 선행연구가 부모의 애착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대한 것이며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유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는 매우 부족하므로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렇다면 애착과 관련한 보다 더 세부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교사의 성인애착과 유아의 적응 사이를 연결해주는 매개요인을 찾아야 할 것이다. 보육교사의 애착과 유아의 적응사이의 매개요인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 자신에게 부과된 역할에 대한 믿음과 자신감을 드러내는 교사의 효능감과 교사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교사의 훈육방식을 들 수 있다.
보육교사로서의 효과적인 업무 수행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요인으로 보육교사의 효능감을 들 수 있다[49, 51, 80]. 교사효능감은 교사가 학습자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자신이 가지고 있다고 믿는 신념으로[4], 교사 자신이 인식하고 판단하는 행동에 영향을 주어 실제로 학급에서 유아들과의 상호작용에서는 교사의 교수행위로 나타나게 된다[51]. 이러한 교사 효능감의 정도는 교사의 역할 수행에 결정적 역할을 하며[30], 교사와 유아의 관계를 통해 유아의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을 때 교사와 영유아간 상호작용의 질이 높아지며[14], 보육교사는 자신의 보육활동에 대해 가치를 느끼고 유아의 행동과 성취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갖는 경향이 있다[45]. 또한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유아를 의사결정에 민주적인 방법으로 참여시키려는 경향을 갖고 있다[48].
효능감과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안정애착을 형성하면 사회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하고, 자기 가치와 자기 효능감을 높게 가질 수 있지만, 불안정 애착을 형성하면 자신에 대해 가치 없게 느끼고, 기대에 부정적이며 불신, 무능력 등을 나타내어, 자기 효능감을 낮게 가질 수 있다[8]. 예를 들어 Park[74]은 안정형 애착을 보인 교사들이 두려움형 애착을 보인 교사들보다 교수 효능감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애착과 대인관계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이라고 지적하면서, 애착 대상과의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한 개인들은 안정적으로 자신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배움이 개인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였다[81].
한편 교사의 효능감과 유아의 적응에 관한 연구들 중 부모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양육효능감이 높은 부모는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양육행동을 많이 나타내며, 이는 유아의 사회적·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3, 18, 20, 34, 84], 자녀의 사회적 능력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양육효능감이 낮은 부모는 부적절한 양육행동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아동의 긍정적인 사회 정서 발달을 방해하며[20], 그들의 자녀는 문제행동을 보였다[67]. 이러한 결과들은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정서적 발달 및 적응행동이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해 주고 있다.
보육교사의 효능감 다음으로 중요하게 생각되는 요인은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시 나타나는 교사의 행동유형인 훈육방식일 것이다. 교사의 훈육방식은 교사가 유아를 대하고 돌보며, 문제행동 지도 등의 보육활동과정에서 표출되는 행동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증감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유아의 사회 심리적 적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2, 5, 63].
교사 훈육방식과 유아의 적응과 관련된 연구들에 의하면, 교사가 훈육과정에서 통제를 많이 하고 온화함을 적게 보일 때 유아들은 공격적인 행동을 하기 쉬우며[19], 교사가 훈육을 사용하여 갈등적 관계를 형성하게 될 때 유아는 문제행동을 표출하게 되며 또래들과의 사회적 기술이 낮다[75]. 그러나 교사가 유아들을 억압하고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하고 수용하는 훈육을 했을 때 유아들의 사회적 행동이 더 유능하고 성숙하게 된다[73]. 특히 교사가 유아를 온정적이고 반응적이며 의견을 존중해주는 태도를 보이거나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인 격려와 지지 등의 훈육방식을 사용할 때 유아들은 더욱 친사회적이고 수용적인 행동을 보이고 사회적 기술 습득을 용이하게 한다[33, 35].
또한 효능감과 훈육방식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효능감이 교사의 행동과 연결되어 있어 교사의 효능감이 교사의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였다[27]. 예를 들어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직접적으로 놀이에 참여하거나, 대화, 방향제시, 격려 등의 긍정적 교사행동을 많이 하는 편이었으며, 문제해결과정에서 유아의 자율적인 태도를 존중하고 수용하며, 유아의 실수에 대해 체계적으로 대처해 주거나 지속적인 인내심을 갖고 다양한 유형의 피드백을 보여 준다[36]. 반면 교사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통제, 명령, 대답을 주입하는 권위주의적 교수행동이 높고 문제행동 발생 시 유아들을 방관하는 등의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51], 유아에 대해 비판적으로 반응하거나 포기를 하며[79], 몇몇 유아의 제한된 활동에 몰입하거나 비활동 참여 유아들을 방관하거나 방치하기도 한다[27]. 특히 영아들을 대하는 보육교사 중 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은 정서적 반응과 긍정적인 훈육행동을 보였으나, 효능감이 낮은 교사들은 영아들의 문제행동을 무시·제지한다[58]. 또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훈육 상황에서 학생에게 타임아웃, 벌이나 비난행동을 적게 하며, 칭찬, 격려, 관심 등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훈육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26]. 결론적으로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훈육방식을 보이며, 유아의 발달과 적응행동에 도움을 주지만 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강압적이거나 방임적 훈육방식을 보이며 유아의 발달과 적응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58]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성인애착과 효능감 및 훈육방식, 유아의 적응 간에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들을 고찰해보면 성인애착과 유아의 적응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애착과 자녀의 적응과의 관계 및 부모의 애착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16, 31, 43, 88]을 살펴보거나, 부모의 정서라든지 양육행동 등의 매개요인을 통하여 부모의 애착이 유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11, 17, 54, 72]만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사의 애착이라든지 다양한 경로분석을 통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성인애착과 유아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대부분 면담을 통한 애착의 유형으로만 구분하여 조사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성인애착의 질을 하나의 유형으로 정확하게 구별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고 보아 불안과 회피의 두 차원으로 나누고 그 수준에 따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도있게 밝히는 연구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성인애착도 부모 자신의 애착 못지않게 유아와의 관계형성 및 유아의 적응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매개요인을 통한 유아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체적이며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유아와 이들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훈육방식을 통하여 유아의 적응에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훈육방식과 유아의 적응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 1-1.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 1-2.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효능감을 매개로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 1-3.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훈육방식을 매개로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 1-4.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효능감과 훈육방식을 매개로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및 경상북도 지역에 소재 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2세-5세 영 유아 866명과 그들을 맡고 있는 담임교사 13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린이집 23곳을 선정한 후 섭외하여 교사용 설문지 150부와 유아용 설문지 1100부를 우편과 직접방문을 통해 배포하였고, 배포한 설문지 중에서 교사용 설문지 140부(93%)와 유아용 설문지 913부(83%)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이나 잘못 표기된 것이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결과, 교사용 설문지는 135부 유아용은 866부가 선정되었으며 이들이 분석 대상이 되었다.
보육교사와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설명하면, 응답한 보육교사의 연령은 20대 후반(26세~30세)이 절반 가까이(43.7%) 되었으며 다음으로 30대 전반(18.5%)이, 그 다음이 20대 전반(16.3%)이었다. 결혼 여부를 보면 62.2%가 미혼이었으며 학력은 전문대 졸업이 44.4%로 제일 많았고 4년제 졸업생(25.9%)과 보육교사교육원 출신(23.7%)이 비슷한 수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도 5.9%나 되었다. 보육교사의 연령이 26세~30세가 대부분이다 보니 교직 경력도 4년 이하가 응답자의 절반이 넘었다. 즉 3~4년의 경력을 가진 보육교사가 약 30%(29.6%), 3년 이하가 25.9%가 되었다. 월수입은 100만원에서 150만원 사이를 받는다고 한 보육교사는 65.2%이며 그다음이 18.5%에 해당하는 보육교사가 150만원에서 200만원을, 200만원을 이상 받는 교사는 3%이나 심지어 13.3%에 해당하는 교사는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의 급료를 받는다고 응답하여 보육교사의 처우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근무시간은 8시간이 약 10%(9.6%), 7시간은 1.4%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9시간에서 11시간을 일하고 있었다(9시간-22.2%, 10시간-32.6%, 11시간-12.6%).
이들이 일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형태는 대부분(76.3%)이 민간어린이집이며 17%가 국공립어린이집이고 나머지가 법인 어린이집이다. 유아들의 경우 남아가 459명으로 53%, 여아가 407명으로 47%로써 남아가 좀 더 많은 편이다. 이들의 연령은 만2세는 429명으로 48.4%, 만3세는 211명으로 24.7%, 만4세는 184명으로 21.3%, 만5세는 52명으로 5.6%여서 만 2세가 가장 많았다.

2. 연구도구

1)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설문지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Brennan 외가 제작한 자기 보고형 애착 측정 질문지인 ECR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를 사용하였다[7]. ECR은 회피차원 18문항과 불안차원 18문항 모두 36문항이고, 5점 평정척도로써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거의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대체로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구성되어 있으며, 불안 애착과 회피애착 모두에서 점수가 낮다는 것은 안정 애착으로, 점수가 높다는 것은 불안정 애착으로 볼 수 있다.

2) 교사 효능감 설문지

교사의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Gibaud-Wallston 외의 PSOC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척도를 본 연구자가 교사용으로 수정보완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새롭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27]. PSOC는 총16문항으로 기대 9문항, 불안과 좌절 3문항, 관심과 흥미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평정척도로써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거의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대체로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5점 Likert 척도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높은 것이다.

3) 교사훈육방식 설문지

교사의 훈육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Calzada 외가 번안한 PSD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를 교사용으로 수정 보완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연구자가 새롭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11].
PSD는 총 15문항으로 논리적 설명 5문항, 강압 5문항, 방임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의 그렇지 않다’(1점)에서 ‘항상 그렇다’(4점)까지의 4점 Likert 척도이다. 각 점수가 높을수록 논리적 설명, 강압적, 방임적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 설명을 역채점하여 각 하위영역의 점수가 높을수록 부정적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4) 유아적응 설문지

유아의 적응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유아행동진단검사 2(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K-BASC-2)의 유아(2-5세)교사용 도구를 사용하였다. K-BASC-2는 총100문항으로 내재화문제행동 52문항, 외현화 문제행동 26문항, 적응기술 2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전혀’(1점), ‘가끔’(2점), ‘자주’(3점), ‘항상’(4점)의 4점 척도로 되어 있다.
유아 적응의 하위영역은 내재화 문제행동(불안, 우울, 위축, 신체화 증상, 비정형성)과 외현화 문제행동(공격성, 과잉행동, 주의력 집중문제) 및 적응기술(적응성, 사회성 기술, 기능적 의사소통)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재화 문제 행동은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보며, 적응기술은 점수가 낮을수록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적응기술을 역채점하여 각 하위 영역의 점수가 높을수록 부적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연구절차

본 연구에서 사용할 척도의 신뢰도, 안면타당도, 소요시간에 대한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린이집 2곳, 보육교사 10명과 영유아 50명을 대상으로 2008년 11월 20일부터 11월 25일 까지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내용의 이해가 어렵거나, 불분명하다고 보고한 문항과 측정의도와 다르게 이해되는 문항을 선별한 후에 수정, 삭제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는 2009년 1월 15일부터 2월 20일 까지 이루어졌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된 설문지를 어린이집 담임교사에게 배포하였다. 이때 설문에 응답하는 연구대상 보육교사는 학기가 시작되는 3월에 자신의 학급 어린이를 맡았으므로 보육교사와 유아가 함께 지낸 기간은 10개월이었다. 모든 설문지는 교사들이 응답하는 것이며 교사들의 성인애착과 효능감 및 훈육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들의 자기보고로 평정토록 하였으며, 영유아의 적응을 알아보기 위해서 담임교사가 유아들의 적응행동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응답되어진 설문지는 반별로 밀봉토록 하여 어린이집별로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4. 분석방법

유아 적응의 원인변인으로 설정한 교사의 성인애착, 교사의 효능감, 교사의 훈육방식 간의 직. 간접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각 잠재변수로 2개-3개의 측정변수를 설정하였다. 교사의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을 측정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교사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기대, 불안과 좌절, 관심과 흥미를 측정변수로 설정하였다. 교사 훈육방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논리적 설명, 강압, 방임을 측정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유아의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내재화문제행동, 외현화 문제행동, 적응기술을 측정변수로 설정하였다. 모형추정 조건에 의해 단위부하량(unit loading identification) 고정법에 의해 잠재변수에 척도를 부여한 다음 Figure 1과 같이 모형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모형의 추정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AMOS 7.0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델의 11개 측정변수들에 대한 다변인정규분포성을 검증한 결과, 단변인별 왜도와 첨도 모두에 있어서 정규분포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다변인 정규분포성 가정 역시 충족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AMOS 7.0의 최대우도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적용하여 모형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자료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의 기술 통계치와 신뢰도와 타당도 구하기 위해서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변인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모형 적합도는 적합도 지수 χ2, TLI, CFI, RMSEA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직. 간접효과는 Bootstrapping 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한 다음 검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변인들의 상관관계

Table 5 에서 보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 효능감의 모든 하위변인들과 부적상관(r = -.11~r = -.28)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교사의 불안정 애착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의 효능감을 낮게 지각하는 것을 설명한다.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 훈육방식의 하위요인에서 논리적설명과는 부적상관(r = -.14~r = -.30)을, 강압과 방임과는 정적상관(r = .13~r = .44)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교사의 불안정 애착수준이 높을수록 논리적설명의 훈육방식은 적게 사용하고, 강압과 방임의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유아적응의 하위요인에서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문제행동과는 정적상관(r = .07~r = .10)을, 적응기술과는 부적상관(r = -.11)을 보이고 있다. 이 결과를 통해 교사의 불안정 애착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문제행동 수준은 높아지고 적응기술 수준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사의 효능감은 교사 훈육방식의 하위요인에서 논리적설명과는 정적상관(r = .07~r = .23)을, 강압과 방임과는 부적상관(r = -.10~r = -.31)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교사의 효능감이 높을수록 논리적설명의 훈육방식은 많이 사용하고, 강압과 방임의 훈육방식을 적게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보육교사의 효능감은 유아적응의 하위요인에서 내재화문제행동과 외현화문제행동과는 부적상관(r = -.08~r = -.12)을, 적응기술과는 정적상관(r = 16.11~r = .18)을 보이고 있다. 이는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은 낮아지고, 유아의 적응기술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의 하위요인인 논리적설명은 유아적응의 하위요인에서 내재화문제행동과 외현화문제행동과는 부적상관(r = -.17~r = -.15)을, 적응기술과는 정적상관(r = .35)을 보이며, 강압은 유아적응의 하위요인에서 내재화문제행동과 외현화문제행동과는 정적상관(r = .11~r = .12)을, 적응기술과는 부적상관(r = -.16)을 보이고, 방임은 유아적응의 하위요인에서 내재화문제행동과 외현화문제행동과는 정적상관(r = .16~r = .18)을, 적응기술과는 부적상관(r = -.23)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교사가 논리적설명의 훈육방식은 적게 사용하고, 강압과 방임의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면 유아의 내재화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은 높아지고 적응기술 수준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의 적응에서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은 r = .40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내재화 문제행동과 적응기술은 r = -.15의 부적인 상관이 있으며, 외현화 문제행동과 적응기술은 r = -.11의 부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다. 이는 유아의 내재화문제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은 높아지고, 내재화 문제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적응기술 수준은 낮아지며,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적응기술 수준은 낮아짐을 의미한다.

2.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훈육방식과 유아의 적응간의 구조모형 분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과 유아의 적응의 관계에서 매개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 또한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과 유아의 적응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 알아보며, 그리고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과 유아의 적응 간의 관계를 어떻게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으로써 이를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Figure 1의 구조모형에서 각 변인들의 방향성이 내포하고 있는 실제적인 내용을 설명해보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불안정애착을 의미하며, 보육교사의 효능감은 긍정적 효능감을 의미한다. 또한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은 부정적 훈육방식을 의미하며, 유아의 적응은 부적응을 의미한다.

1) 모형의 적합도 분석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과 유아의 적응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Table 6에서 볼 수 있듯이 χ2(N = 866)는 256.26, 자유도(df) = .78, p = .00로 나타났다. 상대적 적합도 지수인 TLI (Tucker-Lewis Index)는 .89, CFI (Comporative Fit Index)는 .91로서 적합도 기준인 .80~.90을 모두 만족 시키고 있으며, 절대적 적합지수인 RMSEA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는 .07 로서 적합도 기준인 .05~.08 사이를 만족시키고 있다(pp. 120-127)[10], (pp. 340-345)[47]. 따라서 본 연구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 지수가 지지되어 적합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수 간에 유의미한 경로는 실선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경로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2)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훈육방식과 유아 적응간의 구조적 관계

(1)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효능감을 통해 유아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 분석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효능감을 통해 유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를 표 7에서 보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으로부터 효능감에 이르는 경로계수(-.43, p < .001)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효능감으로부터 유아의 적응에 이르는 경로계수(-.18, p < .01) 역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효능감을 통하여 유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더하여 얻은 총 효과를 구하고, 직 간접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보육교사의 불안정애착은 효능감에 대해서는 -.43의 부적인 직접효과를, 효능감은 유아의 부적응에 대해서는 -.18의 부적인 직접효과를 주었으며, 보육교사의 불안정애착은 유아의 부적응에 대해서는 .08의 정적인 간접효과를 주었다. 즉,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유아의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교사 효능감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정애착 수준이 높은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높으면 유아의 부적응행동은 감소되고 적응행동은 증가되며, 교사의 효능감이 낮으면 유아의 부적응행동은 증가되고 적응행동은 감소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으로부터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적응에 이르는 경로를 살펴볼 때,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효능감을 완전매개(fully mediating)하여 유아의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특히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유아의 적응에 이르는 직접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고 효능감을 통해서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적응에 대해서는 효능감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훈육방식을 통해 유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훈육방식을 통해 유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를 Table 9에서 보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으로부터 훈육방식에 이르는 경로계수(.74, p < .001)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훈육방식으로부터 유아의 적응에 이르는 경로계수(.17, p < .01) 역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훈육방식을 통하여 유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더하여 얻은 총 효과를 구하며, 직 간접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보육교사의 불안정애착은 훈육방식에 대해 .74의 정적인 직접효과를, 부정적 훈육방식이 유아의 부적응에 대해서는 .17의 정적인 직접효과를 주었으며, 보육교사의 불안정애착은 유아의 부적응에 대해서는 .13의 정적인 간접효과를 주었다. 즉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유아의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보육교사의 불안정애착점수가 높을수록 부정적 훈육방식을 많이 보이게 되고 이에 유아들의 부적응행동은 증가되며 적응행동은 감소되고, 보육교사의 불안정 애착 점수가 낮을수록 긍정적 훈육방식을 많이 보이게 되고 이에 유아들의 부적응행동은 감소되며 적응행동은 증가된다는 것이다.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으로부터 훈육방식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적응에 이르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훈육방식을 완전매개하여 유아의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에서 유아의 적응에 이르는 직접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고 훈육을 통해서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적응에 대해서는 교사의 훈육방식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효능감과 훈육방식을 통해 유아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효능감과 훈육방식을 통해 유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를 Table 11에서 보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으로부터 효능감에 이르는 경로계수(-.43, p < .001)는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효능감으로 부터 훈육방식에 이르는 경로계수(-.23, p < .001)도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훈육방식으로부터 유아의 적응에 이르는 경로계수(.29, p < .01) 역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효능감과 훈육방식을 통하여 유아의 적응에 미치는 직접, 간접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보육교사의 불안정애착이 효능감에 대해서는 -.43의 부적인 직접효과를 주었고, 효능감이 부정적 훈육방식에 대해서는 -.23의 부적인 직접효과를 주었으며, 보육교사의 불안정애착은 부정적 훈육방식에 대해서는 .74의 정적인 직접효과와 -.10의 부적인 간접효과를 주어 -.83의 부적인 총 효과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능감이 부정적 훈육방식에 대해서는 -.23의 부적인 직접효과를 주었고, 부정적 훈육방식이 유아의 부적응에 대해서는 .17의 정적인 직접효과를 주었으며, 효능감은 유아의 부적응에 대해서는 - .18의 부적인 직접효과와 -.02의 부적인 간접효과를 주어 -.20의 부적인 총 효과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효능감과 훈육방식을 매개변수로 하여 유아의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경로를 밝혀냈다. 즉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유아의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이것을 매개로 하여 훈육방식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효능감과 훈육방식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 연구결과를 통해 증명되었다고 볼 수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변인인 성인애착이 교사효능감과 훈육방식을 통해 유아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효능감과 훈육방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경로를 분석하여 모형을 검증해보았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유아의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기존의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부모의 애착이 안정적이면 자녀는 불안과 우울을 적게 보이고 불안정하면 공격적이며 적대성을 많이 보이는 등의 부모의 애착과 자녀의 문제행동 간에 상관이 있었으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21, 24, 37, 86]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보육교사의 애착과 유아의 적응과 관련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본연구와 비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보육교사는 다수의 유아를 대하며 부모보다 객관적인 입장이 되고 교사 자신의 감정이나 정서 등의 심리적인 요인을 자제하면서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형성하고 유아들과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아들의 적응이라든지 문제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보육교사의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유아의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보육교사의 효능감은 보육교사와 유아의 적응 간에 완전매개의 역할을 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안정적 애착을 형성한 자는 능동적으로 환경을 탐색하여 효과적인 대처기술을 발달시킴으로써 자아 가치감과 신뢰감을 느끼게 되고[6], 미래의 새로운 환경에 도전적인 행동을 할 수 있음으로써 자기 효능감을 수준 높게 지각한다는 연구[81]와 안정적 애착을 보인 교사들의 교수 효능감이 높다는 연구[74]를 지지한다. 한편 부모의 효능감이 높으면 유아에 대해 훨씬 지지적이며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고,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어 유아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연구[15]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자는 자신의 가치 없음을 느끼고 부정적으로 기대하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불신, 무감각, 공감하지 못하는 점 등이 나타나게 되어 자기 효능감의 수준이 낮아지게 되며[8], 교사의 효능감이 낮으면 유아의 발달과 적응행동에 저해가 된다는 연구[58]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안정적 애착을 보인 보육교사는 효능감 수준이 높으며 유아의 적응에 긍정적이 영향을 미치게 되고 불안정 애착을 보인 보육교사는 효능감 수준이 낮으며, 유아의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교사의 효능감은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의 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셋째,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의 훈육방식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유아의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은 교사의 성인애착과 유아의 적응 간에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애착이 과보호적 태도와 권위주의적 태도를 매개로 하여 우울, 불안과 비행 및 공격성에 영향을 주었다는 Kwahk의 연구[54]와 아버지의 원부모 애착표상은 자신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애착표상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Calzada 외의 연구결과[11]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불안정 애착을 지니고 있는 어머니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녀를 힘들게 하거나 부정적인 자극을 가하는 행동을 하여 자녀를 불안하게 하고 위축되고 소심한 아동으로 혹은 보다 거칠고 공격적인 아동으로 성장하게 함으로써 문제행동을 일으키게 한다는 것이다. 최근의 한 연구[69]에서 부모의 좌절감에서 야기되는 증상과 실제 부모양육방식과 그들의 어린 자녀들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의 변인들 사이에 매우 의미 있는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쳤다는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준다고 할 수 있겠다.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마찬가지인 것이 Mikulincer 외[70]에 의하면, 교사의 애착이 불안정할 경우 유아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유아를 힘들게 하며 또는 부정적인 자극을 가하는 행동과 태도를 보이게 되어 유아는 교사의 이러한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여 공격성 등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교사가 유아의 자율적인 탐색을 방해하고 의존성을 조장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유아는 불안해하거나 소심하게 되고 몰입하는 특성을 지니게 되며 불안과 우울증 등의 내재화 문제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즉, 불안정 애착을 지니고 있는 교사들은 유아에게 부정적인 자극을 가하거나 자율성을 제지하는 행동을 하여 공격적인 유아나 불안해하며, 위축되고 소심한 유아로 성장하게 함으로써 문제행동을 일으키게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도 유아들은 교사의 행동을 모방하고, 교사가 표출하는 방식을 학습하여 행동함으로써 교사의 훈육방식은 유아의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친것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의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교사의 훈육방식은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의 훈육방식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의 매개효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을 통한 간접효과가 있어서, 보육교사의 성인애착과 유아의 적응 간에 교사의 효능감과 교사의 훈육방식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과 유아의 적응으로 가는 경로에서 교사의 효능감과 교사의 훈육방식이 매개하는 모형이 지지되었다. Bowlby[6]에 따르면 안정된 애착을 형성한 자는 어려움을 맞닥뜨렸을 때 타인의 가용성에 대해 긍정적 예상을 하게 되고 타인이 좋은 의도를 가졌다는 것을 느끼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착 대상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때는 고통이 있더라도 견딜만한 것이고 외부의 장애물은 극복될 것이라는 것을 배우게 된다는 것이다. 즉 애착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사의 효능감은 논리적 설명, 강압, 방임 등의 교사의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논리적 설명을 많이 사용하여 유아들과 긍정적이며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하지만 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강압과 방임 등의 부정적이며 비효율적인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교사의 효능감이 높을수록 긍정적이며 효율적인 훈육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효능감에 영향을 주고 효능감은 훈육방식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은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의 연구들이 강압적이며 처벌적인 훈육방식이 유아의 공격성과 같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만을 고려해왔던 것에 비해,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불안, 우울 및 위축과 같은 내재화 문제행동 및 사회적 적응기술에 미치는 영향력까지 보았다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해 보면 방임적 훈육방식과 유아의 적응간의 관계에서 방임적 훈육방식과 아동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대한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Kim의 연구[46]와 방임적 훈육방식이 아동의 비행을 강하게 예측한다는 연구들[53, 55]과 일치하고 있다. 이는 유아의 잘못을 묵인하거나 규칙을 부여하지 않은 교사의 훈육방식이 유아로 하여금 자신은 교사의 관심과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각하게 만들며 이러한 지각은 유아의 자기 통제를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아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유아의 잘못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나 대안적인 방법의 제시 없이 표출되는 소리 지르거나 때리기, 화를 내는 것과 같은 교사의 부정적인 반응은 불안, 우울, 위축과 같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이나 공격성, 과잉행동, 주의집중 등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야기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아가 자신의 잘못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이러한 강압적인 행동들은 유아가 자신의 의견을 주장해야 할 때나 의견이 충돌할 수 있을 때 유아들도 교사의 행동을 모방하여 교사와 같이 강제적인 방법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유아의 공격성을 높이게 된다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유아들과의 긍정적인 관계와 자신의 직업의식 및 역할에 대한 믿음과 자신감을 갖게 하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효능감은 교사 자신의 신념을 통한 다양한 행동을 예측케 하여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아들의 발달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즉, 애착이 안정적인 교사는 효능감이 높고 긍정적이며 효율적인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유아들이 환경에 원만하게 적응해 가도록 이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교사의 심리적 변인으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인 효능감이나 교사의 행동유형인 훈육방식을 통하여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대리 양육자인 보육교사의 성인애착도 부모와 동일하게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훈육방식은 매개역할을 하여 간접적인 효과가 나타났음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유아와의 관계에 대한 애착이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인 효능감과 교사의 행동인 교사 훈육태도가 매개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관련연구를 보다 더 확장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를 말하자면 현대 사회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보육의 질적인 향상의 중심에 있는 보육교사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보육교사의 심리적 특성과 영유아의 적응간의 관계에 대해 기초 자료를 보육학계와 보육현장에 제공한다는데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사변인과 유아변인 모두 교사의 보고에 의해 수행되었으므로 이후 연구에서는 교사보고에만 의지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한 측정 자료들이 총체적으로 비교.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변수들 즉, 행복감이나 정서수용태도, 사회적 지지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매개로 하여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아연령이 학령 전 시기로 제한되어 유아가 성장함으로써 누적되어지는 교사에 의한 훈육방식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알기 어려우므로 종단연구를 통해 이후 발달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Figure 1.
Research model. *p < .05. **p < .01. ***p < .001.
khea-51-1-59-5f1.gif
Table 1.
Educare teacher of the adult attachment scale factors and question number
Factors Question number Reliability

Affirmation Negative
Avoidance dimension 1, 5, 7, 9, 11, 13, 17, 21, 23, 35 3, 15, 19, 25, 27, 29, 31, 33 .94

Anxiety dimension 2, 4, 6, 8, 10, 12, 14, 16, 18, 20, 24, 26, 28, 30, 32, 34, 36 22 .91
Table 2.
Teacher efficacy scale factors and question number
Factors Question number Question number Reliability
Expectation 9 2, 3, 7, 8, 9, 10, 11, 12, 15 .87

Anxiety frustration 4 4, 5, 6, 16 .73.

Interest excitement 3 1, 13, 14 .74

Station scoring number -4, 5, 6, 9, 10, 13, 16.

Table 3.
Teacher discipline scale factors and question number
Factors Question number Question number Deletion number Reliability
Logical explanation 5 2, 4, 9, 10, 11 19, 21, 22 .82

Coercion 5 1, 3, 7, 13, 14 2, 9, 15 .79

Neglect 5 5, 6, 8, 12, 15, 1, 5, 8 .75

Station scoring number-2, 4, 9, 10, 11.

Table 4.
Children’s adjustments scale factors and question number
Factors Question number Question number Full question number Reliability
Interalizing problem behavior Anxiety 8, 22, 30, 33, 47, 55, 72, 76, 80, 97 10 52 0.82

Depression 6, 16, 25, 31, 41, 50, 56, 66, 91, 98 10

Withdrawal 12, 20, 37, 45, 62, 70, 87, 95 8

Somatization 5, 7, 14, 19, 24, 32, 39, 44, 57, 69, 81, 82, 86, 94 14

Atypicality 10, 35, 49, 60, 65, 74, 85, 90, 92, 99 10

Exteralizing problem behavior Aggression 4, 9, 23, 29, 34, 48, 54, 59, 73, 79, 84 11 26 0.83

Hyperactivity 11, 15, 18, 36, 40, 43, 61, 68, 93 9

problems 3, 28, 53, 75, 78, 100 6

Adjustment skills Adaptability 1, 21, 26, 46, 51, 71, 96 7 22 0.80

Social skills 13, 38, 58, 63, 83, 88 6

Functional communication 2, 17, 27, 42, 52, 64, 67, 77, 89 9

Full 100

Station scoring number- 1, 2, 13, 17, 21, 26, 27, 38, 42, 46, 51, 52, 58, 63, 64, 67, 71, 77, 83, 88, 89, 96.

Table 5.
Correlation of major variables and skewness, kurtosis
1 2 3 4 5 6 7 8 9 10 11
1 Anxiety attachment 1 .42** –.27** –.27** –.25** –.30** .19** .44** .08* .10* –.11*

2 Avoidance attachment .42** 1 –.25** –.11** –.28** –.14** .13** .23** .10* .07* –.06

3 Expectation –.27** –.25** 1 .50** .53** .23** –.17** –.24** –.12** –.10** .18**

4 Anxiety frustration –.27** –11** .50** 1 .26** .20** –.26** –12** –.08* –.07 .06

5 interest excitement –.25** –.28** .53** .26** 1 .07* –.10** –.22** –.09* –.09** .16**

6 Logical explanation –.30** –.14** .23** .20** .07* 1 –.32** –.50** –.17* –.15** .35**

7 Coercion .29** .13** –.17** .26** .10** –.32** 1 .28** .11* .12* –.16**

8 Neglect .44** .23** –.24** .12** .22** –.50** .28** 1 .16** .18** –.23**

9 Interalizing problem behavior .08* .10* –.12** .08* .09* –.17* .11* .16** 1 .40** –.15**

10 Exteralizing problem behavior .10* .07* –.10** .07 .09** –.15** .12* .18** .40** 1 –.11*

11 Adjustment skills –.10* –.06 .18** .06 .16** .35** –.16** –.23** –.15** –.11* 1

Skewness 0.48 0.14 0.04 –0.15 –0.08 –1.06 0.37 1.85 0.80 –1.06 0.17

Kurtosis 0.66 0.10 –0.46 –0.08 –0.30 1.41 –0.58 1.04 0.78 1.44 –0.31

* P < .05.

** P < .01.

*** P < .001.

Table 6.
Exponential fi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N = 866)
Goodness of fit index χ2 df TLI CFI RMSEA
Research model 256.26 .78 .89 .91 .07
Table 7.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eachers’ efficacy and child’ adjustment factor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estimates (N = 866)
Coefficient of the path Tues nonstandard coefficient The standard error t Standardized coefficients
Teachers’ adult attachment → teachers’ efficacy –.19 .02 –7.68*** –.43

Teachers’ efficacy → child’ adjustment –.27 .12 –2.23* –.18
Table 8.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eachers’ efficacy and child’ adjustment its direct and indirect impacts (N = 866)
Paths between variables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s Total effect
Teachers’ adult attachment → teachers’ efficacy –.43***

Teachers’ efficacy → child’ adjustment –.18**

Teachers’ adult attachment → child’ adjustment .08**

* p < .05.

** p < .01.

*** p < .001.

Table 9.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eachers’ discipline styles and child’ adjustment factor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estimates (N = 866)
Coefficient of the path Tues nonstandard coefficient The standard error t Standardized coefficients
Teachers’ adult attachment → teachers’ discipline styles 0.1 0.01 7.45*** 0.74

Teachers’ discipline styles → child’ adjustment 0.91 0.45 2.04* 0.17
Table 10.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eachers’ discipline styles and child’ adjustment its direct and indirect impacts (N = 866)
Paths between variables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s Total effect
Teachers’ adult attachment → teachers’ discipline styles .74***

Teachers’ discipline styles → child’ adjustment .17**

Teachers’ adult attachment → child’ adjustment .13**

* p < .05.

** p < .01.

*** p < .001.

Table 11.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eachers’ Efficacy, teachers’ discipline styles and child’ adjustment factor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estimates (N = 866)
Coefficient of the path Tues nonstandard coefficient The standard error t Standardized coefficients
Teachers’ adult attachment → teachers’ efficacy –.19 .02 –7.68*** –.43

Teachers’ efficacy → teachers’ discipline styles –.07 .02 –3.49*** –.23

Teachers’ discipline styles → child’ adjustment .91 .45 2.04* .30
Table 12.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eachers’ Efficacy, teachers’ discipline styles and Child’s adjustment its direct and indirect impacts (N = 866)
Paths between variables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s Total effect
Teachers’ adult attachment → teachers’ efficacy –.43***
Teachers’ efficacy → teachers’ discipline styles –.23***
Teachers’ adult attachment → teachers’ discipline styles .74*** –.10*** –.83***

Teachers’ efficacy → teachers’ discipline styles –.23***
Teachers’ discipline styles → child’ adjustment .17*
Teachers’ efficacy → child’ adjustment –.18* –.02* –.20*

* p < .05.

** p < .01.

*** p < .001.

References

Achenbach, T. M., & Edelbrock, C.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urlington University, Vermont, USA.

Amato, D. R., & Fowler, F. (2002). Parenting practices, child adjustment and family diversit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703-716.
crossref
Ardelt, M., & Eccles, J. S. (2001). Effects of mother's parental efficacy beliefs and promotive parenting strategies on Inner-City Youth. Journal of Family Issues, 22(8), 944-972.
crossref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 28-32.
crossref
Bhushan, V. (1985). elationship of teacher attitude to the environment of his/her class ERIC ED 260118.

Bowlby, J. (1980). Attachment and loss: Vol. 3. Loss: sadness and depression. New York, NY: Basic Books.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romantic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46-76). New York, CA: Guilford Press.

Bretherton, I., & Munholland, K. A. (1999).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A onstruct revisited. In J. Cassidy & P. R. She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pp. 69-88). New York, NY: Guilford Publication.

Bretherton, I., Ridgeway, D., & Cassidy, J. (1990). Assessing internal working models of the attachment relationship: An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for 3-year-olds. In M. T. Greenberg, D. Cicchetti, & E. M. Cummings (Eds.), Attachment in the preschool year (pp. 273-308). Chicago, 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m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tructural equation models ( (pp. 113-135). Beverly Hills, CA: Sage.

Calzada, E. J., & Eyberg, S. M. (2002). Self-report parenting practices in dominican and puerto rican mothers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1(3), 354-363.
crossref pmid
Chae, J. Y. (2009). Influences of fathers' attachment representations and parenting behaviors on preschooolers' attachment representations and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Cho, H. J., & Kim, N. S. (2007). The features of toddlers' temperaments and the influence of toddlers' temperaments on their play behaviors.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ceedings, 11(1), 237-256.

Cheon, H. J. (2010). The effects of nursery teachers' teacher efficac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Choe, H. S. (2002). Effects of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stress, and child's temperament o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Choi, J. M. (1999). The path models and variables of maternal influences on child's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Choi, K. H. (2012). The effect of the adult attachment and role of parents on the emotion regulation and empathy ability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Clark, K. E., & Ladd, G. W. (2000). Connectedness and autonomy support in parent-child relationship: Links to children's socioemotional ori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Developmental Psychology, 36(4), 485-498.
crossref
Coie, J. D., & Koeppl, G. K. (1990). Adapting intervention to the problems of aggressive and disruptive rejected children. In J. D. Coie & S. R. Asher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pp. 101-124). Massachuset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oleman, P. K., & Karraker, K. H. (1998).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 47-85.
crossref
Cowan, P. A., Cowan, C. P., & Mehta, N. (2009). Adult attachment, couple attachment, and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an integrated attachment template and family risk model.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11(1), 29-46.
crossref pmid
Cowen, P. A., Cohn, D. A., Cowen, C. P., & Person, J. L. (1996). Parents' attachment histories and children'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Exploring family systems models of linka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4(1), 53-63.
crossref
Crowell, J. A., & Feldman, S. S. (1991). Mother's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mother and child behavior during separation and reun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7(4), 597-605.
crossref
Crowell, J. A., O’connor, E., Wollmers, G., Sparafkin, J., & Rao, U. (1991). Mother's conceptualization and child behavior problem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4, 431-444.
crossref
Dorsey, S., Kliein, K., Forehand, R., & Health Project Research Group. (1999). Parenting selfefficacy of HIV-infected mothers: The rol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 295-305.
crossref
Emmer, E., & Aussiker, A. (1987). School classroom discipline program: How well do they work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meeting. In E. J. Mash & C. Johnston (Eds.),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pp. 94-115). Washington, DC. CA: Sage.

Giband-Wallston, J., & Wandersman, L. P. (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scale. In V. Barfield & M. Burlmgame (Ed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 146-162). Toronto, CA: Sage.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76(4), 569-582.
crossref
Greenberg, M. T., Speltz, M. L., Deklyen, M., & Endriga, M. C. (1992). Attachment security in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externalizing problems: A replicat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3, 413-430.
crossref
Han, S. S., & Lim, M. H. (2003). A Study on identifying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Journal of Future Childhood Education.

Han, Y. O. (2002). The effect of a maternal attachment style on child behavioral problems: A cross cultural study of Korea and America. The Korea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2), 361-376.

Holland, D. D. (2009). Families of origin, foster care experience, and the transitio to adulthood. Journal of Juvenile and Family Court, 60(2), 69-87.
crossref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98). The relationships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 39-53.
crossref
Hong, K. O. (2001).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self-perception, parenting behavior, kindergartner's temperament and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2(2), 181-194.

Howes, C., Hamilton, C. E., & Matheson, C. C. (1994).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differential associations with aspect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Child development.
pmid
Hwang, S. L. (1995). Relationship of teacher efficacy and learner's Oh efficacy and learning time (ALT) immers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sabelle, R., Jean-Christophe, M., & Marie, S. (2011). Parent attachment, child rearing behavior, and child attachment: Mediated effects predicting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2(4), 170-179.
crossref
Jang, D. H. (1991). The influences of object rela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ity of the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Jang, Y. H., & Kwak, S. J. (2004). An ethnographic study on interaction between toddlers and teacher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5(4), 71-92.

Jeong, H. S. (2000). Parenting behavior and child attachment to parents and attachment to mother their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Jeong, Y. J. (2003). A Study on the adult attachment types and the human relationship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Jo, Y. R., Kim, H. H., & Kong, Y. K. (2009). Effects of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variabl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Journal of Korea Community Living Science, 20(3), 437-448.

Kang, C. Y. (1999).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style, marital conflict, caring behavior, and child behavior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Kim, A. J., & Choi, K. H. (2004). Tube study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 difficultie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35, 77-100.

Kim, C. K., & Lee, W. J. (2012). An effect of childhood experience and parenting efficacy as parents upon teaching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70, 107-126.

Kim, E. Y. (2005). Path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style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Kim, G. S. (201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e Academy.

Kim, H.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fficacy belief and interactions of teachers an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Kim, H. J., Han, S. M, & Jean, K, A. (2010). The effect of child care-work ability program on efficacy of child care, rol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Journal of Korea Child Care and Education, 6(2), 9-56.

Kim, K. A. (2001).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the role performance of edu-care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nam University, Yongin, Korea.

Kim, S. Y. (1991). A Study educational belief and the teaching behavior of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taegu distri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Kim, Y. H., & Kim, Y. E. (2008). Bandura's teacher self-efficacy scale 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8(2), 169-191.

Kolvin, L., Miller, F. J. W., Fleeting, M., & Kolvin, P. A. (1988). Social and parenting factors affecting criminal-offence rates: Findings from the newcastle thousand family study (1947-1980).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2, 80-90.
crossref pmid
Kwahk, S. H. (2005). Path model analysis of the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emotion,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Laub, J. H., & Sampson, R. J. (1988). Unraveling familes and delinquency: A reanalysis of the gluecks, data. Criminology, 26, 355-379.
crossref
Lee, H. S. (2001). The Effect of childhood attachment on parent's car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Lee, K, S., Shin, Y. J., Jeon, Y. J., & Park, J. A. (2004). Characteristics of behavior problem among young children in Korea. Journal of Korea Psychological Association: Development, 7(4), 503-73.

Lee, K. Y. (2007). The relation between teacher, childrearing and educational beliefs, Efficacy of child care and teaching, job stress, Infant temperament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Lee, M. S. (2001). A study on teacher's discipline styles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Lee, S. Y., & Park, E. H. (2009). Inclusive copper education. Seoul: Hakjisa.

Lee, Y. M., & Park, S. Y. (2010).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employer supported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ceedings, 14(1), 69-91.

Lim, B. Y., & Choi, H. R. (2006). A Study on the feninin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ing on the paradox of caring and liberal feminis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6(5), 119-143.

Lunenburg, F. C. (1995). The principalship: Concepts and application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Lynch, M., & Cicchetti, D. (1992). Maltreated children's reports of relatedness to their. Child Development, 57, 81-108.
pmid
Main, M. (1996).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n attachment and psychopathology: 2. Overview of the field of attach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rical Psychology, 64(2), 237-243.
crossref pmid
Marvin, R. S., & Britner, P. (1999). Normative development: The ontogeny of attachment. In J. Cassidy & P.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pp. 128-145). New York, NY: Guilford Press.

Mash, E. J., & Johnston, C. (1983).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 self-esteem and mother's reported stress in younger and older hyperactive and normal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1), 86-99.
pmid
McCarthy, G., & Maughan, B. (2010). Negative childhood experiences and adult love relationships: The role of internal workings of attachment.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12, 445-461.
crossref pmid
Middleton, M., Scott, S. L., & Renk, K. (2009). Parental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s, and behaviour problems in young children. Infant & Child Development 18(4), (pp. 323-336.
crossref
Mikuliner, M., & Shaver, P. R. (2008). Adult attachment and affect regulation. In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pp. 503-531). New York, NY: Guilford.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Statistical Yearbook of Health & Welfare.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olicy department.

Ogg, J. (2012). The relationships of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paternal exploratory sensitivity,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and toddlers'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allas, aron, M. (1989). The changing nature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Current dimensions and future trends. Educational Researcher, 8(5), 16-22.
crossref
Park, K. H. (2009).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attachment types and self-efficacy, and their interaction with children in nursery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Pianta, R. C., Nimetz, S. L., & Bennett, E. (1997). Other-child relationships,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school outcome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3), 263-280.
crossref
Scarr, S. (1988). American child care today. American Psychology, 10, 502-506.
crossref
Schipper, J., Taveccho, L. W. C., VanIJzendoorn, M. H., & Linting, M. (2003). The relation of flexible child care to quality of center day care and children's socioemotional functioning: A survey and observational study. Infant Behavior & Development, 26, 300-325.

Seo, J. Y. (2006). The impact of attitude on the child's behavior problems: Parenting shame tendency mediat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Shin, E. S. (2000). The effects of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pla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 27-42.

Shin, E. S., & Park, H. K. (2006). Effects of teacher education about pretend play on levels of children's pretend pla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6(6), 287-310.

Shin, N. R., & Ahn, C. Y. (2004). The relationships among adult attachment style, social anxiety, selfconcept, self-efficacy,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Korea Clinical Psychology, 23(4), 949-968.

Shin, Y. J., Lee, K. S., & Park, J. A. (2009). Effects of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Korea Psychological Association: Female, 14(4), 549-566.

Sroufe, L. A., & Waters, E. (1977). Attachment as an organizational construct. Child Development, 48, 1184-1199.
crossref
Teti, D.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crossref pmid
Verschueren, K., Dossche, D., Marcoen, A., & Mahieu, (2006). Attachment representations and discipline in mothers of young school children: An observation study. Social Development, 15(4), 659-675.
crossref
Whiffen, V. E., Kerr, M. A., & Kallos-Lilly, V. (2005). Moternal depression, adult attachment, and children's emotional distress. Family Process, 44(1), 93-103.
crossref pmid
Yoo, E. Y., & Kim, T. I. (2010). The meaning of pre-service teachers' child observation: Focused on maladaptiv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ceedings, 14(2), 341-368.

Yoo, H. I. (2004). Parental attachment styles and psychiatric manifestations in their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Yun, J. H., & Lee, J. H. (1999). A study on toddlers' behavior problems and caregivers' difficultie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0(2), 171-186.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upplement  Supplement
  Print
Share:      
METRICS
1
Crossref
7,583
View
36
Download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